한은 "韓 노동수급 상황 양호…美 대비 임금·물가 상승압력 낮다"

by하상렬 기자
2023.04.25 12:00:00

한은, 2023년 노동시장 세미나 개최
"노동공급 제약하는 구조적 요인 주요국 대비 크지 않다"
"고용 비중 높은 서비스업 노동수요 증가율도 낮아"

[이데일리 하상렬 기자] 노동수급 상황에 기반한 우리나라의 임금·물가 상승압력과 지속성이 미국 등 주요국보다 낮다는 분석이 나왔다. 노동공급을 제약하는 구조적 요인이 크지 않고, 고용 비중과 가격전가율이 높은 서비스업에서 노동수요 증가가 상대적으로 높지 않기 때문이다.

오삼일 한국은행 고용분석팀 차장이 25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2023년 한국은행 노동시장 세미나에서 발표하고 있다.(출처: 한국은행)
오삼일 한은 조사국 고용분석팀 차장은 25일 서울 중구 한은 본관 재입주 후 처음 열리는 ‘노동시장 상황과 인플레이션 압력’이란 주제의 세미나에서 이같은 내용이 담긴 ‘주요국의 노동수급 상황과 임금상승 압력’ 자료를 발표했다.

오 차장은 “한국은 노동공급이 빠르게 회복되면서 경제활동참가율(경활률)이 팬데믹 이전 수준을 0.4%포인트(경활인구 18만명) 상회한 반면, 미국의 경활률은 팬데믹 이전 대비 1.0%포인트(260만명) 하락했다”며 “한국과 미국 간 노동공급 회복 차이는 경기적 요인보다 구조적 요인에 주로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한국은 미국보다 고령화 속도가 더 빨랐음에도 고령층 및 여성을 중심으로 경활률 상승 추세가 지속돼 노동공급 부족에 직면하지 않았지만, 미국은 펜데믹 이전부터 지속돼 온 고령화 등 영향으로 노동공급이 감소하면서 임금상승 압력이 높아졌다는 게 그의 분석이다.



오 차장은 “경활률 변동을 인구구성 변화에 따른 요인과 구성효과를 제외한 요인으로 분해해 보면, 한국은 인구구성 변화에 의한 경활률 하락 요인이 미국보다 더 큼에도 구성효과를 제외한 경활률 상승 추세가 높아 노동공급이 빠르게 회복됐다”고 지적했다. 그에 따르면 펜데믹 이후 고령화에 의한 경활률 하락 요인은 한국이 -0.6%포인트, 미국이 -0.4%포인트로 집계됐다.

한국의 빠른 노동공급 회복은 기업의 구인성공률을 높이면서 임금상승 압력을 둔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 반면, 미국의 경활률 하락은 임금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평가다.

산업별로 보면 한국은 제조업 중심으로 빈 일자리가 증가한 반면, 미국과 유럽연합(EU)은 제조업과 서비스업 전반에서 증가했다. 오 차장은 “산업별 노동수요 차이는 산업별 임금 상승률의 차이로 이어진다”며 “이처럼 한국은 고용 비중과 임금·물가 간 가격전가율이 높은 서비스업 부문의 임금 상승률이 상대적으로 낮아 노동수요, 임금, 물가를 잇는 채널이 미국에 비해 약한 것으로 평가된다”고 했다.

다만 오 차장은 중장기적으론 한국도 구조적 요인이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우리나라도 고령화가 노동공급을 제약하는 속도가 빨라지고 있어 중장기적으론 노동공급이 구조적으로 감소(경활률 하락)하면서 변화를 초래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