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구직자 "연봉 1000만원 더 받으면 지방근무 선택"

by최영지 기자
2022.06.07 12:00:00

응답자 73% "지방근무 기피"
비수도권서 수도권 유출 청년인구 증가세
수원·용인, 평택·충주 근무 의향은 각 64.1%·31.9%
대한상의, '지방근무 관련 청년 인식조사' 실시

자료=대한상의
[이데일리 최영지 기자] 인구와 일자리의 수도권 쏠림 현상이 심화하는 가운데, 청년 구직자들 상당수가 지방근무를 기피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 같은 지역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 생활 여건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7일 대한상공회의소는 수도권에 거주하며 구직활동을 하는 청년 301명을 대상으로 ‘지방근무에 대한 청년 인식 조사’를 실시했다. 지방근무를 기피하는지를 묻는 질문에 49.2%가 ‘다소 그렇다’, 23.6%가 ‘매우 그렇다’라고 응답했다. 반면 ‘별로 상관없다’, ‘전혀 상관없다’는 응답은 각각 22.6%와 4.6%에 그쳤다.

비수도권 회사에 실제로 입사 지원하는지를 묻자 ‘전혀 지원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비율이 34.5%에 달했다. 아무리 조건이 좋은 회사여도 지방에 있으면 가지 않겠다는 것이다. ‘가급적 지원하지 않는다’는 응답도 31.6%를 차지했으며, 공기업 등에만 제한적으로 지원한다는 응답도 19.6%였다. ‘지역에 상관없이 지원한다’는 응답은 14.3%에 불과했다.

지방 근무를 기피하는 이유로는 ‘가족·친구 등 네트워크가 없어서’(60.7%)라는 응답이 1순위로 꼽혔다. 이어 ‘생활·문화 인프라가 열악해서’(59.8%), ‘주거·생활비가 부담돼서’(48.9%) 라는 응답이 주를 이뤘다. 이 밖에 ‘원하는 직장이 없어서’(14.2%), ‘성장기회가 부족해서’(6.8%), ‘결혼·자녀교육이 어려워서’(5.0%) 순이었다.

청년들의 지방 기피 경향은 통계청 조사에서도 나타났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0년 기준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 순유출된 청년인구는 약 9만 1000명으로 2010년에 비해 1.7배 이상 증가했다. 비수도권 인구 중 청년 비중 역시 2010년 19.7%에서 2015년 18.8%, 2020년 17.6%로 지속적으로 하락했다.



회사 선택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조건을 묻는 질문에서 수도권 청년들은 ‘연봉’(36.5%)과 ‘근무지역’(28.9%)을 각각 1위와 2위로 꼽았다. 수도권에서 근무할 수 있는지 여부가 연봉만큼이나 회사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이어 ‘워라밸’(21.3%), ‘개인 커리어 개발’(9.3%), ‘회사 성장 가능성‘(2.7%) 순이었다.

실제 비슷한 수준의 두 회사가 수도권과 비수도권에 각각 위치할 경우 어디로 입사하겠느냐는 질문에 ‘수도권 회사’라는 응답이 98.3%로 압도적이었다. 또 수도권 회사를 택한 청년들에게 ‘연봉이 얼마나 높으면 지방 근무를 하겠느냐’고 묻자 ‘1000만원’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36.5%로 가장 높았다. 이어 ‘2000만원’·‘500만원’(18.6%)이 동일한 응답수를 보였다.

자료=대한상의
서울에서 어느 정도 먼 지역에서까지 근무할 의향이 있는지 묻자 64.1%가 ‘수원·용인’으로 답했다. 반면, 그보다 조금 아래인 ‘평택·충주’는 31.9%로 크게 줄었다. 대한상의 측은 “수도권이거나 수도권 인접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서울과의 거리가 일정 수준 이상 멀어지면서 선호가 크게 낮아진다”고 분석했다.

이어 청년들은 지역 불균형 해소를 위한 새 정부의 최우선 정책과제로 ‘지역 생활여건 개선’(38.5%)을 꼽았다. 전인식 대한상의 산업정책실장은 “지역 불균형 해소 핵심은 결국 미래세대인 청년과 지역경제를 이끌어갈 기업이 스스로 찾아와 정착하고 싶은 지역을 만드는 것”이라며 “청년 눈높이에 맞게 지역 생활여건을 개선하고 기업에 친화적인 제도와 인프라도 만들어야 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