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공군 공중급유기 임무현장…3차원 공간서 10㎝ 급유구 찾기
by김관용 기자
2023.04.13 12:00:00
공군, 공중급유기 KC-330 훈련 현장 언론에 첫 공개
2019년 전력화 이후 공군 임무영역과 작전능력 확대
미라클 작전, 튀르키예 긴급 구호대 파견 등 '활약'
| 12일 취재진을 태우고 이륙한 공군 KC-330 공중급유기가 후미로 진입한 F-15K 전투기에 급유 붐을 길게 내려 공중급유를 시도하고 있다. (사진=공군) |
|
[오산=이데일리 김관용 기자] 취재진이 찾은 오산기지 주기장에 공군 정비사들이 다목적 공중급유수송기(이하 KC-330)의 비행 전 점검을 위해 분주히 움직이고 있었다. KC-330의 육중한 중량을 견뎌내 줄 랜딩기어를 점검하고, 좌우 날개 밑에 달린 터보팬 엔진을 꼼꼼히 살폈다. 이어 공중급유장치인 ‘붐’을 점검하고, 외부 유도등과 카메라를 확인했다.
공군은 12일 KC-330의 전투기 공중급유 훈련 현장을 언론에 처음 공개했다. 취재진을 태운 KC-330은 활주로를 박차고 날아 올라 30여분 후 서해 임무 공역에 진입했다. 그러자 이내 급유를 받기 위해 날아온 F-15K·KF-16 각 2대와 대형을 이뤘다. KC-330을 가운데에 두고 그 뒤로 넓게 날개를 펼친 듯 정렬해 공중급유를 위한 준비를 마쳤다.
| 공군 제5공중기동비행단 261공중급유비행대대 소속 임무 조종사와 공중급유통제사들이 KC-330 공중급유 임무를 수행하기 전 임무절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공군) |
|
먼저 F-15K가 KC-330 뒷쪽으로 진입해 길게 내려온 붐을 향해 서서히 다가갔다. 1만5000피트(4.572㎞) 상공 3차원 입체 공간에서 시속 290노트(약 530여㎞) 속도로 비행하는 두 대의 항공기가 지름 약 10㎝의 급유구를 서로 맞닿게 하는 것은 고도의 집중력이 필요하다. 급유기와 피급유기 속도가 다르거나 공중급유통제사의 사소한 실수 하나가 자칫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KC-330 조종석 바로 뒤에 공중급유통제사 좌석이 있다. 공중급유통제사들은 이곳에 앉아 항공기 외부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실시간으로 피급유기의 상황을 보며 분당 최대 1360리터의 속도로 연료를 주입한다. 각 전투기 당 1분여 씩의 급유가 완료되자 공중급유통제사는 전투기 조종사에게 완료 교신과 함께 총 급유량을 전했다. 공중급유를 받은 전투기 조종사들은 공중급유통제사에게 엄지를 치켜세운 뒤 힘차게 기수를 꺾어 임무 공역으로 향했다.
공군은 2019년 1월 KC-330 1호기 전력화 이후 총 4대를 운용하고 있다. 지금까지 약 7400회가 넘는 공중급유 작전을 수행하면서 전투기의 임무반경과 체공시간 증대에 기여했다. 실제로 이전에는 F-15K 전투기의 경우 독도에서 약 30분, 이어도에서 약 20분 밖에 임무를 수행할 수 없었다. KF-16 역시 독도에서 약 10분, 이어도에서 약 5분간 작전을 수행하는데 그쳤다. 하지만 KC-330 전력화로 공중급유 1회당 약 1시간씩 임무를 더 수행할 수 있게 되면서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 전역에서 더욱 효과적인 작전을 수행할 수 있게 된 것이다.
| 공중급유통제사가 KC-330에서 KF-16 전투기에 공중급유를 위해 카메라 모니터를 보며 장비를 조작하고 있다. (사진=공군) |
|
특히 공중급유기 도입으로 전투기의 무장량도 늘릴 수 있게 됐다. 전투기는 ‘최대이륙중량’이 정해져 있는데, 연료를 가득 채우고 이륙할 경우 그만큼 무장량이 줄어든다. 그러나 공중에서 급유할 경우 이륙에 필요한 연료만 채우면 되기 때문에 더 많은 미사일과 폭탄을 탑재할 수 있다.
공군은 또 해외 연합작전 참가 시 KC-330으로 직접 공중급유하며 단독 전력으로 한반도 공역을 넘어 어디서든 작전을 펼칠 수 있게 됐다. 작년 8월 호주 피치블랙 연합훈련 참가 때 전투기들이 KC-330으로 공중급유를 받으며 호주까지 전개했다.
게다가 KC-330은 최대 300여 명의 인원 또는 37톤의 화물을 운송할 수 있다. 이러한 능력을 바탕으로 2021년 코로나 19 백신을 수송했다. 또 아프가니스탄 현지 조력자들을 국내로 데려오는 ‘미라클 작전’과 홍범도 장군 유해 봉환도 수행했다. ‘요소수 긴급 공수 작전’에도 투입되는가 하면, 올해 2월 강진 피해를 입은 튀르키예에 긴급 구호대와 물자를 수송하기도 했다.
공군 제5공중기동비행단 261공중급유비행대대장 조주영 중령은 “조종사들은 항상 연료에 대한 압박감을 갖고 있는데, 공중급유는 이러한 부담에서 벗어나 본인의 기량과 항공기 성능을 최대로 발휘하게 해준다”며 “안정적인 작전 운영과 실전적인 훈련을 통해 상시 결전태세를 확립하겠다”고 말했다.
| 공중급유통제사가 공중급유 임무를 수행할 때 보는 실제 화면이다. 공중급유통제사들은 3D 카메라로 전달된 입체화면을 통해 피급유기와의 거리감을 느낄 수 있다. (사진=공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