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이승우 기자
2006.03.14 17:51:31
[이데일리 이승우기자] 뚜렷한 재료가 없는 가운데 외국인들이 국채선물 6월물을 공격적으로 사들이면서 채권금리가 14일 하락했다. 일명 선물 강세가 현물 강세를 이끄는 웩더독(wag the dog) 장세였다. 전날 금리가 크게 오른 부분에 대한 반발심리도 작용했다.
이날 국채선물 3월물은 정산되면서 거래가 종료됐고 6월물로 완전히 거래가 옮아갔다. 국채선물 3월물의 정산가는 108.03이었다. 국채선물 6월물의 저평가를 노린 외국인들이 대규모 사자에 나섰다. 물론 3월물에서 롤오버(이월)된 부분이 대부분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외국인들은 2000계약 이상 6월물 순매수를 보였다.
이날 채권 시장 강세를 이끈 또 다른 원인은 한국은행의 국고채 단순매입(직매입)에 대한 기대였다. 한은은 구체적인 계획이 없다며 부정했지만 환매조건부채권(RP) 담보용 채권 확보를 위한 직매입 가능성을 기대하는 참가자들의 심리를 제어하지 못했다. 물론 재료가 없는 시장에서 금리 하락을 이끌기 위한 시장의 `구실`에 지나지 않는다는 지적도 있었다.
여전히 박스권은 유효했고 특별한 재료가 없는 이상 이같은 장세는 지속될 것으로 참가자들은 예상했다. 박스권의 상하단 설정에 대한 공방이 있을 정도라는 것.
장외시장에서 국고채 3년물 5-3호는 전날보다 2bp 하락한 4.91%를 기록했다. 5년물 경과물인 5-5호와 새로운 지표물인 6-2호는 각각 2bp 내린 5.10%, 5.13%로 장을 마쳤다. 10년물 5-4호는 전날과 같은 수준인 5.39%를 나타냈다.
장내시장에서는 1조2800억원어치가 거래됐다. 3년물 5-3호가 7700억원으로 가장 많이 거래됐고 5년물 6-2호가 2400억원, 5년물 5-5호는 1500억원어치 거래됐다. 나머지는 1000억원 이하로 거래가 이뤄졌다.
증권업협회가 고시한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날보다 3bp 하락한 4.91%였고 5년물은 2bp 내린 5.11%였다. 10년물은 2bp 하락한 5.35%, 20년물은 1bp 내린 5.66%였다. 통안증권 364일물은 1bp 내린 4.57%, 2년물은 2bp 하락한 4.86%로 장을 마쳤다.
3년만기 국채선물 6월물은 전날보다 8틱 오른 108.04로 거래를 마쳤다. 거래량은 4만4240계약. 은행권이 2527계약, 투신사가 1503계약 순매도한 가운데 외국인이 2172계약 순매수했다.
말 그대로 웩더독 장세였다. 외국인들이 선물 저평가를 노리고 공격적으로 매수에 나서면서 현물 금리도 하락폭을 넓혀갔다. 딱히 재료가 없는 상황에서 국내 참가자들도 매수에 동참하는 형국이었다.
채권을 사겠다는 쪽은 탄탄해 보이고 외국인들마저 공격적으로 나오면서 반대로 힘을 써볼 여지는 잘 보이지 않았다. 그렇다고 추세나 방향성을 논할 장세는 아니었다. 여전히 박스권 속에서의 변동성을 이용하는 정도였다.
투신사 한 채권운용 팀장은 "별다른 재료가 없고 금리 방향성에 대해 다들 애매하게 여기는 분위기인데 외국인들이 매수에 나서니 그냥 따라가는 형국이었다"고 전했다.
특히 한국은행의 직매입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겹치며 강세 심리는 연장됐다. 그러나 직매입에 기댄 채권 강세는 한계가 있다는 평가가 압도적이었다. 직매입 기대는 말 그대로 `구실`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
4.9%대에서 금리가 맴돌고 있다. 재료도 없고 공격적으로 방향성을 흔들만한 세력도 없어 보인다. 매수세는 꾸준하지만 과도하거나 섣부른 행동은 자제되는 양상이다.
이로 인해 `박스권`이라는 명제는 당분간 채권시장을 짓누를 것으로 보인다. 각 만기별 스프레드에 여유가 없는 점도 적극적으로 움직이기에 부담인 상황이다.
제2금융권 채권운용 담당자는 "3-5년이 20bp 이내로 좁혀져 있는 상황인데 25bp 정도면 5년 이상쪽으로 손이 갈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나 여전히 지켜봐야할 부분이라는 점을 덧붙였다.
앞선 투신사 팀장도 "이제까지 스프레드 차원에서 접근해 왔었는데 그것도 부담인 상황이다"며 "뚜렷한 모멘텀 없이 박스권에 정체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그러나 아직 박스권 상하단에 대한 공고함이 부족해 아래나 위로 기술적 돌파 가능성도 있어 이 부분에 대한 경계를 늦추지 말아야 한다는 지적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