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정KPMG, "글로벌 공급망 압력지수, 2020년 이후 변동성 확대”
by김경은 기자
2024.12.05 10:24:05
삼정KPMG ‘글로벌 규제 폭풍 속, 기업의 공급망 대응 전략’ 발간
통합 대응 플랫폼 및 공급망 실사 위한 인증·검증체계 구축해야
[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지정학적 갈등, 기후변화, 팬데믹 등 복합적인 위기가 글로벌 공급망을 흔들며 각국이 자국 중심의 보호무역주의를 강화함에 따라 2020년 이후 공급망 압력지수가 급변동하고 있다. 기업들은 새로운 규제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삼정KPMG가 5일 발간한 보고서 ‘글로벌 규제 폭풍 속, 기업의 공급망 대응 전략’에 따르면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를 나타내는 ‘글로벌 공급망 압력지수(GSCPI)’는 2020년 이후 높은 변동성을 보여왔다.
미중 전략경쟁,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동 분쟁 등 지정학적 갈등과 팬데믹, 기후변화로 인한 원자재 수급 불안 및 물류비 상승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특히 미국과 유럽연합(EU)은 자국 산업 보호와 공급망 강화를 목표로 강력한 규제를 도입하며 기업들에 새로운 도전과제를 안기고 있다.
미국 관세국경보호청의 통계에 따르면 2022년 위구르강제노동금지법(UFLPA) 시행 이후 2024년 9월까지 통관 조사 1만160건 중 42.2%가 거부됐으며, 그중 전자 및 섬유, 산업용 원부자재가 84%를 차지했다. 미국 수출 기업은 중국산 원자재·중간재에 대한 공급망 관리와 관련된 위험을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EU 역시 2023년 7월부터 역외보조금규정(FSR)을 시행하며 전기차, 태양광 및 풍력발전 등 청정에너지 전환 핵심 산업을 대상으로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이는 주로 중국 기업을 겨냥한 조치로 평가된다.
보고서는 기업들이 ESG 정보공시, 환경·인권 규제, 통상 제재 등 복합적인 규제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통합 대응 플랫폼 구축과 인증·검증체계 마련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단일 규제 대응을 넘어, 다양한 규제 요구사항에 대한 시스템 기반 통합 관리체계를 마련해 실사 및 데이터 관리 프로세스를 강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를 통해 기업은 협력사 요구에 신속히 대응하고, 인증 및 검증체계를 통해 규제 실사에 대비할 수 있는 능력을 확보할 수 있다.
삼정KPMG 봉찬식 파트너는 “글로벌 공급망 위기와 규제 환경 변화는 기업의 생존과 지속가능성을 좌우하는 핵심 이슈”라며 “규제 대응 운영체계 및 시스템 구축, 제3자 인증 등 공급망 리스크 대응 전략 마련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