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1%P 오르면 연 20만원 넘게 덜 쓴다…청년층 빚부담 급증
by이지은 기자
2023.04.26 12:00:00
20대 29.9만원 줄여…60대 이상 3.6만원 대비 '8.4배'
부채 상위 50% 청년 27.9만↓…저신용층 53.9만원↓
주거관련 대출 비중 80% 이상…"장기 상환 보조해야"
[세종=이데일리 이지은 기자] 기준금리가 1%포인트 오르면 청년층이 연간 소비를 20만원 넘게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층에 비해 부채 상환 부담이 크게 늘어나는 반면, 자산 처분이나 추가 차입을 통해 소비를 유지할 여력은 부족하기 때문이다. 부채가 많은 청년 중에서도 소득 수준이나 신용점수가 낮은 경우에는 소비는 더 큰 폭으로 감소했다.
| 김미루 KDI 경제전망실 연구위원이 2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금리인상에 따른 청년층의 부채상환 부담 증가와 시사점’에 대해 브리핑하고 있다. (사진=KDI 제공) |
|
26일 한국개발연구원(KDI)이 발간한 ‘금리인상에 따른 청년층의 부채상환 부담 증가와 시사점’에 따르면 2018년 8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차주 단위 월별 정보를 분석한 결과 기준금리 1%포인트 인상에 따른 청년층(20세~39세)대출보유 차주의 연간 소비는 고령층에 비해 큰 폭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20대의 경우 감소폭이 전체의 1.3%인 29만9000원에 달했다. 60대 이상의 3만6000원(0.2%)에 비해 8.4배나 줄어든 것이다. 30대도 20만4000원(2.4%)에 달하는 금액을 줄였다. 2021년 이후 기준금리가 3%포인트 인상됐다는 점을 감안하면 20대는 89만6000원(2.96%), 30대는 61만3000원(32.4%)만큼 소비를 줄인 것이다. 원리금 상환에 추가로 지출되는 금액도 청년층의 경우 소득의 3.3%을 더 쓰는 반면, 60대 이상은 1.2% 증가하는 데 그쳤다.
부채를 많이 보유한 청년들은 허리띠를 더 졸라맸다. 기준금리 1%p 인상에 따라 부채보유 상위 50% 청년의 연간 소비는 26만4000천원(1.1%) 줄어들었다. 부채를 보유하지 않은 청년의 연간 소비 감소폭 2만4000원(0.1%)과 비교하면 약 11배에 달한다. 부채보유 하위 50% 청년층의 경우 약 7만 6000원(0.3%) 감소했다.
빚을 진 청년들 중에서도 소득수준이 낮거나 저신용층일 경우에는 소비를 상대적으로 많이 줄였다. 기준금리 1%p 인상에 따라 부채보유 상위 50% 청년 가구 중 저소득층의 연간 소비 감소폭은 약 27만9000원(1.2%)에 달하는 반면, 고소득층의 소비 감소폭은 약 9만2000원(0.3%)에 그쳤다.
특히 부채보유 상위 50% 청년이 저신용층(신용점수 700점 이하)일 경우에는 소비를 감소폭이 53만9000원(2.2%)으로 가장 컸다. 고금리 대출 상품인 카드론 보유자는 소비가 19만8000원(0.8%) 줄었고, 2금융권 신용대출 보유자와 다중채무자는 각각 21만2000원(0.9%), 29만5000원(1.2%) 수준의 소비 감소가 일어났다.
청년들의 빚 부담이 증가한 배경에는 최근 주거 관련 대출을 중심으로 부채가 빠르게 늘어난 게 자리했다.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한국을 비롯한 전 세계 주요국들이 기준금리를 낮은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전세가격 상승으로 이어졌기 때문이다.
청년층의 총대출 중 주거 관련 대출 비중은 약 82.4~85.0%인 반면, 중장년층의 총대출 중 주거 관련 대출 비중은 약 63.6~73.1%로 나타났다. 청년층의 전월세 보증금 마련을 위한 대출 비율(2022년 말 기준)은 약 30.0%로 중장년층(5.6%)에 비해 24.4%포인트나 높았다. 2021년에는 주택가격의 급격한 상승으로 2018년 이후 감소 추세에 있던 청년층의 주택담보대출 증가율(4.7%)도 중장년층(2.3%)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부채상환 부담이 청년층에 크게 가중되는 상황에서 정부의 지속적인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는 진단도 나왔다. 특히 부채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주거 문제를 안정적으로 관리해줘야 한다는 지적이다.
김미루 KDI 경제전망실 연구위원은 “생애주기 관점에서 보면 청년층의 경우 향후 소득이 점차 증가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현재 소득과 함께 미래 소득도 DSR 등의 대출 규제에 반영될 필요가 있다”면서 “한계상황에 직면한 청년 차주에게 기존 채무를 장기 분할상환 대출로 전환할 기회를 확대해 단기 상환부담을 경감하고 장기간에 걸쳐 상환할 수 있도록 보조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