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中 기후변화 대응 손잡긴 했지만…탄소중립 압박시 무역전쟁 2차전

by최정희 기자
2021.04.18 17:53:43

8일 공동성명 발표..파리협정 이행 강화키로 협의
바이든 주최 기후정상회의에 '시진핑' 온다는 확답 못 얻어
기후변화 놓고도 미중 갈등 지속될 것이란 지적 나와

[이데일리 최정희 기자] 미국과 중국이 경제 패권을 비롯해 신장 지역의 인권, 대만과 홍콩 주권 문제 등을 두고 격한 갈등을 벌이는 와중에도 기후문제에서만은 협력을 약속했다. 전지구적 이슈인 기후문제에서도 조차 대립하는 모습을 보일 경우 국제사회에서 리더십에 상처를 입을 수 있다는 판단과 함께 기후환경 문제가 그만큼 심각하다는 판단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다음주 조 바이든 대통령이 주도하는 기후정상회의에 시진핑 중국 주석이 참석할 지 여부에 대해서는 확답을 내놓지 않는 등 미국 주도의 기후환경 대응에 일방적으로 끌려가지는 않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미국이 세계 최대 제조업 국가인 중국의 탄소 배출 감축을 압박할 경우 기후변화 문제가 무역전쟁에 이어 미중간 새로운 갈등요소가 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18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 등에 따르면 존 케리 미국 대통령 기후특사와 셰전화(解振華) 중국 특사는 15일, 16일 상하이에서 기후 위기 문제를 논의한 후 “2015년 파리기후변화협약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위해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파리협약에서 탈퇴한 것과 달리 바이든 대통령은 파리협약 체제 복귀를 공언해 왔다.

파리기후변화협약은 2015년 미국, 중국 등 주요국 195개국이 서명한 것으로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5~65%까지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양국은 공동성명을 통해 △기후 문제 해결 위해 다른 나라와 협력 △파리협력 이행 강화 △미국 주최 기후정상회의 참여 △기후 위기 해결 위한 탄소중립 △영국 글래스고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 전후로 탄소 배출 감축 논의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6) 개최 협력 등 6가지 항목에 합의했다.

리 슈오 중국 그린피스 정책 고문은 “적어도 기후변화 문제에 있어 G2가 다시 협력한다는 것을 나머지 국가들이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회담은 조 바이든 행정부가 홍콩 자치권과 신장 지역의 인권 침해 비난, 중국 기술기업들을 미국정부의 거래제한 블랙리스트에 추가 등 노골적으로 중국 정부를 견제해온 와중에 이뤄져 관심을 모았다. AFP통신은 “양국이 긴장 고조 속에서도 글로벌 위기에 대해선 협력할 수 있다는 신호”라고 의미를 부였다.



중국 내에선 선진국과 탄소중립 목표를 똑같이 가져갈 수는 없고 미국은 중국을 향해 탄소 배출을 줄이라고 압박할 것이기 때문에 양국의 갈등은 기후 변화를 위한 대응에서도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중국은 2060년까지 탄소 중립을 실현하겠다고 밝한 바 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중국은 지구 온난화에 대처하기 위한 새로운 이니셔티브를 공개하거나 어떻게 이행할 것인지를 밝히기보다 미국이 더 많은 책임을 져야 한다고 촉구했다”고 보도했다.

한정(韓正) 중국 부총리는 케리 특사와 16일 화상회의를 갖고 “중국은 미국이 파리협약에 복귀한 것을 환영한다”면서도 “미국측이 협약을 유지하고 정당한 책임을 질 것을 기대한다”고 미국측을 압박했다.

중국 해양대학 국제문제 분석가 팡 중잉은 “중국은 기후 변화에 대한 미국의 요구가 중국 경제 성장을 억제하고 에너지 집약적 개발 모델을 포기하도록 강요하는 미국의 대전략의 일환으로 생각한다”며 “기후 협력이 양국 관계 하락 나선을 되돌릴 수 있다는 기대는 대체로 잘못된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양국이 기후에 대해 협력하기가 날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며 “케리의 방중은 양자 협력을 위한 기회의 창이 닫히고 있다는 증거가 될 수 있다”고 이번 회담 결과를 혹평했다.

가장 큰 관심사는 이달 22일, 23일(현지시간) 바이든 대통령이 주최해 화상으로 열리는 기후정상회의에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이 참석할지 여부다. 이번 회의는 바이든 대통령이 파리협약에 다시 참여하겠다고 밝힌 이후 열리는 첫 번째 회의다.

중국은 공동성명에서 기후정상회의에 대한 기대감을 표명하면서도 시 주석의 참석 여부에 대해선 밝히지 않았다. 이번 회담이 그리 성공적이지 않다고 평가되는 이유 중 하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