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억제책에도…최고의 재테크는 ‘부동산’
by강신우 기자
2020.07.10 10:50:10
아파트 36%, 토지 19%, 적금 16%順
부동산, 2014년 38%에서 55%로 늘어
[이데일리 강신우 기자] 정부가 부동산시장 안정화를 위한 억제책을 잇달아 내놓고 있지만 가장 유리한 재테크 방법으로 ‘부동산’이 꼽혔다.
10일 한국갤럽이 지난 7~9일 전국 성인 1001명에게 가장 유리한 재테크 방법을 물은 결과 ‘아파트·주택’(36%)과 ‘땅·토지’(19%) 등 55%가 ‘부동산’을 꼽았다. 그 다음은 ‘은행 적금’(16%), ‘주식’(11%), ‘채권·펀드’(2%),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1%) 순이며 14%는 의견을 유보했다.
과거 조사와 비교하면 ‘부동산’은 2000년 14%에서 2006년 54%까지 증가, 2014년 38%로 하락했으나 2020년 또다시 55%로 늘었다.
특히 2019년 1월 대비 ‘땅·토지’(27%→19%)보다 ‘아파트·주택’(22%→36%) 선호 경향이 뚜렷해졌다. 이처럼 부동산을 최고의 자산 증식 수단으로 여기는 이들이 많은 상황에서는 정부의 투기 억제 정책이 효과를 발휘하기가 난망해 보인다.
‘은행 적금’은 2000년 74%에 달했지만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해 2018년 23%, 2019년 25%, 2020년 16%다. 국내 주요 은행의 1년제 정기예금 금리는 IMF 직후 연 18%를 웃돌았지만 1999년 연 8%, 2001년 연 5%로 급락했다. 2018년 연 2%대, 2020년 들어서는 0%대로 역대 최저 수준이다. 초저금리 시대지만 종잣돈을 모아야 하는 20대, 수익보다 손실을 피해야 하는 60대 이상에서는 은행 적금 선호가 20%를 넘었다.
‘주식’은 상대적으로 저연령일수록 관심 투자처로 꼽혔다. 모바일·핀테크 플랫폼 확장으로 국내외 주식에 접근하기 쉬워졌고 부동산보다 소액 투자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젊은이들에게 매력적이라는 분석이다.
2018년 조사에 처음 포함된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는 당시 ‘주식’과 같은 5%를 기록했지만 이후로는 1%에 그친다. 가상화폐는 2018년 초 열띤 관심을 모았으나 이후 거래소 해킹·횡령 등 사건이 연발했고 정부 규제가 뒤따르며 가격이 급락했다.
그해 1월 조사에서는 성인 중 7%가 가상화폐 거래 경험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고 14%가 향후 거래 의향이 있다고 답했으며 특히 20·30대에서는 그 비율이 약 20%에 달했다.
자세한 여론조사 개요 및 결과는 한국갤럽이나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