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포의 자가포식 기능으로 당뇨병 치료한다

by이승현 기자
2014.07.23 12:00:00

삼성서울병원 등 공동연구팀, 자가포식으로 당뇨병 발병물질 억제기제 규명

[이데일리 이승현 기자] 국내 연구진이 ‘세포가 자기 살을 먹는다’는 뜻의 자가포식 기능을 통해 당뇨병을 치료할 수 있는 기제를 규명했다. 자가포식은 세포가 영양분 부족이나 외부 미생물 침입 등을 겪으면 생존을 위해 미토콘드리아 등 세포 내 소기관을 사멸시키고 재탄생시키는 과정을 일컫는다.

이명식 삼성서울병원 교수
23일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이명식 삼성서울병원 교수 연구팀과 강상욱 울산의대 교수 연구팀, 삼성의료원 등의 공동 연구진은 당뇨병의 직접적 원인으로 꼽히는 아밀로이드의 췌장소도 세포 내 축적을 세포의 자가포식으로 억제할 수 있다는 점을 발견했다. 당뇨병 치료의 실마리를 찾은 것이다.

아밀로이드는 세포 조직 안에 쌓이는 불용성 단백질 덩어리로 당뇨병 환자의 90% 이상에서 췌장소도(인슐린 분비기관) 세포에 축적된 것으로 나타난다. 아밀로이드의 세포 내 축적 과정이나 제거방법은 아직 밝혀지지 않은 상태다.

연구진은 변성된 단백질을 제거하는 자가포식 방법으로 아밀로이드를 없앨 수 있는 지 연구했다.

실험 결과 자가포식이 일어나지 않은 생쥐는 정상생쥐에 비해 혈중 인슐린 농도가 낮게 나타났다. 아밀로이드와 그 중합체가 자가포식으로 제거되지 않고 남으면 췌장소도 세포를 손상시켜 분비량을 줄게 해 결국 당뇨병에 걸리게 하는 것이다.



반면 이 생쥐에 자가포식 증진 물질을 투여하자 아밀로이드 축적이 줄면서 당뇨 증상이 호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교수는 “자가포식 (기능) 조절제가 당뇨병 치료제로 개발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알츠하이머 등 퇴행성 신경질환에도 같은 원리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알츠하이머병은 뇌 조직 안에 아밀로이드가 축적돼 발병한다.

연구진은 자가포식 활용 방식이 성인들에게 발병하는 2형 당뇨병의 치료제 개발에 도움이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 연구는 미래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사업으로 수행됐다. 연구결과는 기초·임상의학 분야 국제학술지인 ‘임상연구저널’ 온라인판에 지난 18일 실렸다.

미래창조과학부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