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기지금리 낮춘다” 中 부동산 부양 의지…위안화 약세는 고민
by이명철 기자
2024.02.20 13:01:21
주담대 기준 되는 5년물 LPR 인하, 시장 예상치 상회
지준율 인하 이어 잇단 통화 완화로 시중 유동성 공급
1년 만기 LPR은 동결 기조 유지, 미국과 금리차 발목
[베이징=이데일리 이명철 특파원] 디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하락) 우려에도 금리 인하에 인색하던 중국 정부가 6개월만에 사실상 기준금리 인하를 전격 단행했다. 올해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예고한 중국 중앙은행은 지급준비율(RRR·지준율)에 이어 대출우대금리(LPR)도 낮춰 부동산 시장 등에 대한 본격 유동성 공급에 나서는 모습이다. 다만 금리를 낮출수록 벌어지는 미국과의 격차는 고민으로 남게 됐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5년 만기 대출우대금리(LPR)를 전월 4.20%대비 25bp(1bp=0.01%포인트) 인하한 3.95%로 결정했다고 20일 밝혔다. 1년 만기 LPR은 3.45%로 전월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시중은행 대출금리의 평균치인 LPR은 사실상 기준금리로 여기고 있다. 통상 1년물은 신용대출 같은 일반 대출, 5년물은 주택담보대출 기준이 된다.
전체 LPR을 기준으로 했을 때 인민은행이 인하를 단행한 것은 6개월만인 셈이다. 5년물만 놓고 보면 지난해 6월 4.20%에서 4.10%로 10bp를 낮춘 이후 8개월 만에 이뤄진 인하다. 중국이 2019년 세율 체제를 개편한 이후 가장 큰 인하폭이기도 하다.
시장에서는 이달 4.10% 정도로 낮출 것을 예상했는데 실제 인하폭은 이를 크게 뛰어넘었다. 로이터통신도 전날 시장 참여자 27명을 대상으로 LPR 예측 설문조사를 실시했는데 5년물 5~15bp 인하를 예상했었다.
부동산 시장 침체와 소비 부진으로 디플레이션에 시달리고 있는 중국은 그동안 기준금리를 낮춰 시중에 유동성을 공급해야 한다는 요구가 많았다.
그동안 미국과 금리 격차 확대에 따른 위안화 약세가 우려 요인으로 지목됐지만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사이클이 끝났다는 분석도 나오는 상황이었다. 최근 시중은행들이 예금금리를 낮춰 순이자마진을 방어한 것도 금리 인하 부담을 덜었다.
판궁성 인민은행 총재 역시 올해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강조했으며 지난달 24일에는 직접 지준율 50bp 인하 방침을 발표하면서 LPR 인하도 임박했다는 관측이 나왔다. 이번에는 시장 예상을 뛰어넘는 수준의 LPR 인하를 단행함으로써 시중 유동성 공급에 대한 의지를 나타냈다.
특히 인민은행이 5년물 LPR을 낮춘 이유는 주담대 금리를 낮춤으로써 부동산 시장을 부양하기 위해서로 풀이된다. 중국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는 가장 큰 리스크가 부동산 침체기 때문이다.
블룸버그통신은 “부동산 위기는 지난 몇 년간 세계 2위의 경제 대국에 큰 걸림돌이었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협했다”라며 “예상보다 큰 폭의 (5년물 LPR) 감소로 중국 내 많은 도시에서 주택 구입자를 위한 모기지 금리를 낮출 수 있어 아파트 수요를 자극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인민은행이 5년물 LPR을 큰 폭으로 낮춘 반면 일반적인 대출금리로 활용되는 1년물 LPR을 유지한 점은 중국 통화당국의 딜레마를 보여준다는 평가다. 금리 인하에 따라오는 위안화 약세를 외면할 수 없기 때문이다.
달러·위안화 환율은 현재 7.19위안선에 거래되고 있다. 지난해 11월 한창 높았던 7.3위안대보다는 낮지만 7.10위안 안팎까지 내려갔던 작년말보다는 다소 올라간(위안화 약세) 수준이다.
그동안 상승세를 보였던 중국 증시는 이날 LPR 발표 이후에도 장중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다. 중국 본토 상하이종합지수는 현재 전일대비 0.14% 하락 중이고 홍콩 항셍지수도 0.2%대 낙폭이다. 5년물 LPR 인하 수준은 예상 밖이지만 1년물 동결 등을 볼 때 전반적으로 시장 기대에는 미치지 못했다는 평가다.
미국 연준은 지난해 7월 기준금리를 5.50%로 올린 후 지금까지 동결 기조를 유지하고 있지만 그렇다고 섣불리 인하하지도 않고 있다. 인민은행은 그동안 소폭이지만 꾸준히 LPR을 낮춰 미국과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
미국과 금리가 벌어지게 되면 중국 입장에서는 위안화대비 달러화 강세에 따른 자금 유출이 가장 큰 고민이다. 작년부터 중국 증시가 부진을 면치 못하면서 외국인 자금이 대거 유출된 상황에서 추가 금리 인하는 부담이 됐다.
이에 그동안 LPR을 크게 낮추는 대신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를 통해 신규 유동성을 공급하거나 지준율 인하 등으로 대응했던 것이다.
호주 ANZ은행의 중국 수석 전략가인 싱 자오펑은 블룸버그에 “중국 경기 침체가 내수로 더 광범위하게 확산돼 올해 금리 인하가 필요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번 인하는 늦어 보인다”고 경고했다.
싱가포르 OCBC의 통화 전략가인 크리스토퍼 웡은 로이터통신에 이번 LPR 인하를 두고 “정책 입안자들이 경기 부양에 진지하게 임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평가하면서도 “(경기 회복) 모멘텀을 유지하기에 충분한 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