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근로자 1명당 月 585만원 썼다…‘대기업 712만원 vs 중기 479만원’

by최정훈 기자
2022.12.20 12:23:19

고용부, 2021 회계연도 기업체 노동비용 조사결과
근로자 1인당 월평균 노동비용 585만원…작년보다 8.2% 증가
“성과·상여금 줄었던 2019년·2020년 기저효과…일시적 현상”
중소기업, 대기업의 67.3% 수준…작년보다 격차 3%p 줄어

[이데일리 최정훈 기자] 기업이 근로자 1명에게 들어가는 급여와 상여금부터 4대 보험료, 복리후생비 등을 포함한 노동비용이 지난해보다 월평균 45만원가량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이 근로자 한 명에 쓰는 돈이 중소기업보다 월평균 223만원 많았고, 금융·보험업의 노동비용이 1057만2000원으로 가장 많았다.

자료=고용노동부 제공
고용노동부가 20일 발표한 ‘2021 회계연도 기업체 노동비용 조사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상용근로자 10인 이상 기업체의 상용근로자 1인당 월평균 노동비용은 585만원으로, 전년(540만8000원)보다 8.2% 증가했다.

기업체 노동비용은 기업체가 상용근로자를 고용함으로써 실제 부담하는 금액이다. 급여, 상여금, 퇴직급여, 4대보험료, 복리후생비 등의 직간접 비용을 모두 포함한 것이다. 고용부의 기업체 노동비용 조사는 지난 5∼6월 상용직 10인 이상 기업 중 회사법인 약 3500곳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정액 급여와 초과급여, 상여금, 성과급을 합한 임금총액을 가리키는 월평균 직접노동비용은 462만7000원으로, 전년보다 8.0% 늘었고, 퇴직급여, 복지비용, 교육훈련비용 등을 포함하는 간접노동비용은 122만4000원으로 전년 대비 8.8% 증가했다. 노동비용에서 직접노동비용이 차지하는 비중은 79.1%다.

직접노동비용 중에서는 정액·초과급여가 382만3000원으로 전년보다 5.13% 증가했다. 상여금·성과급은 80만3000원으로, 22.9% 증가했다. 고용부는 2019년과 2020년에 축소되었던 전년 기저영향과 올해 제조업, 금융·보험업 등의 실적 개선 등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전년 대비 8.8% 늘어난 간접노동비용의 증가는 퇴직급여 등의 비용 증가 영향이 주효했다고 고용부는 설명했다. 특히 퇴직연금 적립액이 증가한 영향이 크다. 퇴직급여 등의 비용은 1인당 월평균 52만9000원으로, 전년 대비 12.1%(5만7000원) 증가했다. 퇴직연금 적립액은 295조6000억원으로 전년(255조5000억원)보다 15.7% 증가했다. 퇴직급여 등의 비용은 일시금 지급액, 중간정산 지급액, 퇴직연금 연간적립액, 해고예고 수당 등을 포함한다.



또 4대 보험료 등이 포함된 법정 노동비용 월평균 42만1000원으로, 건강보험료율 상승과 임금 상승 등이 반영된 영향으로 전년대비 5.9%(2만4000원) 증가했다. 법정 외 복지비용은 월평균 24만9000원으로 전년 대비 6.5%(1만5000원) 늘었다. 법정 외 복지비용 구성을 보면 식사비용이 31.7%(7만9000원), 교통·통신지원비용 10.2%(2만5000원), 자녀학비보조비용 7.7%(1만9000원) 순으로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고용노동부 제공
산업별로는 금융 및 보험업이 1057만2000원으로 가장 많았고,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919만6000원 △제조업 662만6000원 순으로 많았다. 사업시설관리, 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이 301만1000원으로 가장 적었다. 상승률이 높은 산업은 제조업으로 코로나19 영향 회복 및 실적 호조로 9.7%가 올라 가장 높았고, 예술, 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9.0%), 정보통신업(+7.9%) 순이었다.

300인 미만 중소기업의 1인당 월평균 노동비용은 479만5000원으로 전년(455만6000원) 대비 5.2% 증가했다. 300인 이상은 712만9000원으로 전년(647만7000원) 대비 10.1% 늘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노동비용 차이는 233만4000원으로 지난해(192만1000원)보다 41만3000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300인 미만 기업의 노동비용은 300인 이상 기업의 67.3% 수준으로, 전년(70.3%)보다 3.0%포인트 낮아졌다. 이는 300인 이상 기업을 100으로 봤을 때 300인 이상 대비 300인 미만 기업이 67.3% 수준인 셈이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임금 및 복지의 격차는 점차 축소하는 추세다.

고용부 관계자는 “2021년 회계연도 기준 조사이기 때문에 이번 상승률 확대는 일시적인 현상이라고 봐야 할 것 같다”며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노동비용 차이도 코로나19 영향으로 지난해 일시적으로 확대되긴 했지만, 다시 예년 수준에서 적은 수준에서 감소 추세를 보이는 모양새”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