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연구진, 유방암 전이 촉진하는 마이크로알엔에이 발견했다"

by오희나 기자
2016.04.11 12:00:00

국제 학술지 분자세포생물학 3월호 게재
"유방암 전이 인자 억제 약물 등 관련기술 개발 기대"

한영훈 한국원자력의학원 방사선의학연구소 박사
[이데일리 오희나 기자] 국내연구진이 유방암 전이를 촉진하는 마이크로알엔에이(microRNA)를 발견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한국원자력의학원 한영훈 박사팀이 세포내 특정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마이크로알엔에이(microRNA) 중에서 암 전이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단백질 MDM2와 E-cadherin의 발현을 동시에 억제하는 마이크로알엔에이 ‘miR-5003-3p’를 찾아냈다고 11일 밝혔다.

연구팀은 유방암 전이의 핵심과정을 촉진하는 기전을 규명해 암 전이억제 기술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암은 다른 장기로 전이돼 재발한 경우 생존율이 매우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유방암의 경우 5년 생존율은 평균 91.5%이나, 전이되면 36.8%로 급격히 낮아지는 등 치료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마이크로알엔에이(microRNA)는 우리 몸을 구성하는 다양한 세포들의 정체성은 유전자의 발현에 의해 결정된다. 마이크로알엔에이는 세포 내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인자로서, 이러한 유전자 발현에 문제가 생기면 암이나 유전질환이 나타나기도 한다. 인간 세포에는 현재 2,600 여 개의 마이크로알엔에이(microRNA)가 존재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연구팀은 유방암 전이 조직에서 많이 발현되는 ‘miR-5003-3p’가 발암 단백질(MDM2)을 억제해 암 전이 유도 단백질(Snail)을 안정화시켜 전이를 촉진한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밝혀냈다.

특히 유방암 전이 세포를 지닌 실험동물에 ‘miR-5003-3p’를 주입하자, 폐로 암이 전이되는 발생빈도가 주입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4배 가량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영훈 박사는 “이번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방암 전이 인자를 억제하는 약물 등 관련 기술을 개발해 유방암 전이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에서 지원하는 ‘방사선암창조경제실용화사업’ 및 ‘방사선노화제어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됐으며, 국제 저명 학술지 분자세포생물학(Journal of Molecular Cell Biology, 논문피인용지수=6.87) 3월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