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로봇도입 많을수록…산업재해 발생건수 줄어"

by하상렬 기자
2023.02.27 12:00:00

BOK경제연구 보고서
로봇 9.95대 증가했을 때 재해근로자 8% 감소
특히 장해급여 부분서 16.9% 줄어
"저학력 근로자의 주관적 건강 개선도 발견"

[이데일리 하상렬 기자] 산업용 로봇이 많이 도입될수록 산업재해 발생이 줄어든다는 분석이 나왔다.

산업용 로봇. 사진은 기사와 무관. (사진=이미지투데이)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미시제도연구실은 27일 BOK경제연구 보고서를 통해 “2010~2019년 동안 로봇도입이 많이 늘어난 지역에서 다른 지역과 비교했을 때 ‘산업재해 발생건수 감소’가 발견됐다”고 밝혔다.

미시제도연구실은 해당 기간 근로복지공단의 사업재해보상보험 통계와 국제로봇협회의 산업용 로봇도입 자료를 지역(시군구) 단위에서 결합해 사용했다. 메커니즘을 파악하기 위해 통계청의 지역별 고용조사를 이용, 육체 직무 종사 근로자 비중을 계산해 로봇도입이 직무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아울러 질병관리청 지역사회건강조사의 주관적 건상상태 문항을 이용해 임금근로자들의 전반적인 건강상태도 파악했다.

분석 결과 미시제도연구실에 따르면 근로자 1000명당 로봇 대수인 로봇 노출도가 1 표준편차(9.95대) 증가했을 때 근로자 100명당 재해근로자 수가 8% 감소했다. 이러한 감소 효과는 업무상 부상으로 인해 근로자 신체 등에 장해가 남는 경우 지급하는 장해급여 부분(-16.9%)에서 가장 뚜렷하게 나타났다.



김혜진 미시제도연구실 과장은 “로봇이 노동집약적이고 위험한 업무를 대체함에 따라 근로자 중 육체 직무 종사자 비중이 감소한 영향”이라며 “로봇 노출도가 1 표준편차 증가했을 때 지역의 육체 직무 종사자 비중이 0.36%포인트 감소했고, 이는 평균 44.1% 대비 0.8%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또 미시제도연구실은 로봇도입이 근로자들 건강 개선에 효과가 있었다고 평가했다. 김 과장은 “로봇도입이 많이 증가한 지역에서 근로자의 주관적 건강 상태 개선이 발견됐다”며 “특히 로봇이 많이 도입되는 근로환경에서 일하는 고졸 이하 저학력 근로자에게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나왔다”고 말했다.

아울러 그는 향후 기술 도입과 관련한 정책을 수립할 때 산업재해 감소, 근로자의 건강 개선 등 산업용 로봇의 긍정적 효과를 고려하고,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사진=이데일리D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