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北 위성 군사적 효용성 없다" 결론, 판단 근거는 '쉬쉬' 왜?

by김관용 기자
2023.07.05 13:52:41

5월 31일 시작된 잔해물 탐색 및 인양작전 종료
우주발사체와 위성체 주요 부분 인양 성공
전문기관서 분석 결과 정찰위성으로 볼 수 없어
北 추가 발사 예고에 취득 정보 공개 않기로 판단

[이데일리 김관용 기자] 북한이 지난 5월 발사했다 서해상에 추락한 우주발사체 ‘천리마 1형’과 군사정찰위성 ‘만리경 1호’의 잔해를 인양해 군 당국이 분석한 결과 군사적 효용성이 전혀 없는 것으로 평가됐다. 그러나 이런 결과를 낸 근거나 추가 인양 사진 등은 공개하지 않았다. 북한에 우리가 취득한 정보를 알리지 않으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합동참모본부는 5일 “우리 군은 지난 5월 31일부터 시작한 북한 우주발사체 등 잔해물 탐색 및 인양작전을 종료했다”고 밝혔다.

우리 군은 감시전력을 동원해 북한의 발사체가 발사된 순간부터 추적했다. 북한 발사체는 1단 분리 후 2단 점화에 실패하면서 전북 군산 어청도 서방 200여㎞ 해상에 추락했다.

이에 우리 군은 잔해물 낙하구역을 설정하고 해군 함정, 항공기, 심해잠수사 등을 투입해 36일간의 탐색 및 인양작전을 수행했다. 인양된 물체는 국방과학연구소 등 전문기관으로 옮겨져 분석 작업이 이뤄졌다.

합참은 “이번 작전을 통해 북한의 우주발사체와 위성체의 주요부분을 인양해 한미 전문가가 면밀히 분석한 결과, 정찰위성으로서의 군사적 효용성이 전혀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하지만 어떤 부품을 인양해 이같은 결론을 도출했는지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았다. 군은 앞서 2단부 동체를 인양해 공개했지만, 이후 수거된 위성체와 관련해서는 극도로 말을 아꼈다.

이는 지난 2012년 은하 3호와 2016년 광명성호 로켓 잔해물을 수거해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을 때와는 다른 것이다. 당시 군은 인양된 잔해물을 대부분 공개하고 그 분석 결과를 설명했다. 당시 수거한 은하 3호 산화제통 분석을 통해 북한이 로켓에 스커드 및 노동미사일 산화제와 같은 ‘적연질산’을 사용했다고 밝혔다.

당시 산화제통의 용량(48t)을 기준으로 1단 로켓의 추진력을 118t으로 판단했다. 이를 시뮬레이션한 결과 500~600㎏의 탄두를 장착하고 1만㎞ 이상을 비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것으로 추산했다.

광명성호 잔해를 통해서도 은하 3호 로켓과 동일한 기술이 적용된 것을 확인했다. 광명성호 위성체 덮개인 페어링에서는 위성체의 충격과 진동을 막는 ‘음향담요’도 설치되지 않아 위성 발사보다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개발 의도가 더 큰 것으로 평가했었다.

그러나 군 당국은 북한이 추가 군사정찰위성 발사를 예고한 만큼 관련 정보 공개를 꺼리고 있다. 이를 공개할 경우 북한이 재발사 때 발사체와 위성체에 들어가는 관련 장비나 부품을 바꿀 수 있다는 판단이 깔린 것으로 보인다.

북한이 지난 5월 31일 발사한 우주발사체 ‘천리마 1형’의 잔해가 서해에 낙하한 지 15일 만에 인양됐다. 사진은 합참이 공개한 발사체 잔해다. (사진=합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