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이숙현 기자
2010.11.09 14:36:50
獨·日, 경상수지 가이드라인에 수치명기 반발
보호무역주의 배격 재천명..이행 방안도 모색
글로벌 금융안전망·개발 이슈 등은 진전 기대
[이데일리 이숙현 최정희 기자] 이틀 앞으로 다가온 주요 20개국(G20) 서울 정상회의가 어떤 결과물을 내놓을지에 관심이 쏠린 가운데 환율 문제 해법의 핵심인 경상수지 가이드라인에 대한 구체적인 수치는 나오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대신 각국의 과도한 흑자와 적자를 줄이고 이를 위한 조기 경보 체제를 추진한다는 언급과 향후 경상수지 가이드라인 추진을 위한 시간표가 나올 가능성이 커 보인다.
따라서 오는 12일 오후 4시 경에 나올 서울 선언문에는 경상수지 가이드라인에 대한 유연한 수준의 합의를, 금융 안정망 및 개발 문제 등에 대해서는 지난달 경주 재무장관 회의 합의 수준보다 진전된 안이 담길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번 G20 서울 정상회의 최대 관심사는 경상수지 가이드라인에 대해 각국이 합의할지 여부다. 이와 관련해 G20 재무차관들은 지난 8일부터 경상수지 가이드라인 작성에 돌입했으나 독일, 일본 등 핵심 국가들이 수치를 명기하는 데 반대 의사를 분명히 밝히면서 합의안 도출에 난항을 겪고 있다.
따라서 경상수지 가이드라인에 대한 전체적인 골격만 만들고 각국의 흑자와 적자의 과도함을 조기 경보하는 체제를 추진한다는 내용이 서울 선언에 담길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와 함께 경상수지 가이드라인에 대한 향후 추진 일정과 조기 경보 체제 구축을 위한 IMF 등 국제기구 역할 등이 선언문에 담길 가능성이 높다.
이번 G20 정상회의에선 보호무역조치를 배격하고 무역 장벽을 더욱 줄이기 위한 진전된 조치가 선언문에 담겨질 가능성이 높다. 보호무역조치 배격에 대한 G20의 입장은 지난 6월 토론토 회의 당시 "모든 형태의 보호무역주의를 배격한다"는 수준의 원론적 합의에서 크게 진전되지 않고 있다.
보호무역조치 배격은 이명박 대통령은 2008년 11월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스탠드스틸(standstill:추가 보호무역조치 동결)을 제안하며 이슈로 떠올랐다. 이 대통령은 지난해 4월 영국 런던에서 개최된 회의에서도 스탠드스틸과 관련해 한단계 진전된 조치 마련을 촉구했다.
따라서 이번 G20 서울 정상회의에선 스탠드스틸을 재천명함과 동시에 무역이나 금융보호주의 배격 원칙이 이행되는지에 대한 점검과 이를 지키지 않을 경우 뒤따르는 조치에 대한 내용이 나올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