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윤진섭 기자
2009.01.20 15:20:21
외환위기 이후 워크아웃·퇴출 등 결정
과도한 주택사업 비중..사업포트폴리오 절실
[이데일리 윤진섭기자] 정부가 총 11곳 건설사에 대해 워크아웃, 1개 건설사에 대한 퇴출을 결정했다. 20일 발표된 건설업 구조조정은 본격적인 건설 산업 구조조정을 예고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금융권이 나서 구조조정을 전제로 유동성을 지원한다는 점에서 흡사 IMF 외환위기 당시의 건설사 구조조정과 유사하다.
이번에 금융권이 발표한 워크아웃 건설사들의 면면을 살펴보면 주택사업 비중이 급증하면서 유동성 위기를 겪은 공통점이 있다. 또 차기 사업을 이유로 금융권으로부터 과도하게 PF자금을 대출 받은 주택업체들도 워크아웃 판정을 비켜가지 못했다.
주택경기 호황 속에서 사업 포트폴리오 재편에 노력하기보다 땅 확보에 나섰다가 경기 침체의 타격을 받고, 결국 퇴출과 워크아웃 판정을 받은 셈이다.
금융업계 한 관계자는 "주택경기 침체가 가속화된 상황에서 업체들에 대한 구조조정이 없을 경우 우량기업까지 어려움에 빠질 수 있는 상황"이라며 "정부의 이번 대책은 적절하다"고 말했다.
이번 워크아웃 또는 퇴출 대상에서 제외돼 어렵게 살아남은 건설업체라도 안심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경기 회복 자체가 불투명해, 추후 제2의 워크아웃 및 퇴출 대상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건설사들은 자구노력과 함께 사업 포트폴리오 다각화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주문이다.
이상호 GS건설 경제연구소장은 “B등급이나 C등급인 건설사들은 사업부문 및 보유자산 매각 등에 총력을 기울여 경기회복 시점까지 버티는 게 중요하다”라며 “아울러 정부가 추진중인 4대강 살리기 사업 등 공공사업 수주를 위한 사업 다각화에 적극 나서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택건설업체가 무더기 워크아웃이 결정되면서 일각에선 전체 주택 건설업계 구도가 재편될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건설사 구조조정 과정에서 일부 업체들의 경우 헐값에 경영권 매각에 나설 수 있기 때문이다.
사실상 IMF 외환위기 이후 대규모 건설사 M&A 시장이 형성될 수 있다는 의견이다.
이와 관련해 D그룹, A그룹, E그룹 등이 M&A팀을 다시 가동하는 등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는 중견건설사 인수에 관심이 높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한 M&A 전문가는 “현재 상황은 IMF 외환위기 이후 건설산업의 구조조정에 따른 일부 건설사의 몰락과 신흥 건설사의 부상과 닮은 꼴”이라며 “대규모 건설사 M&A 시장이 형성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