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티컬AI’의 역습…글로벌 AI에 대항할 ‘한국형 AI’

by김세연 기자
2025.06.18 06:45:00

워트인텔리전스, 17일 ‘워트 테크 써밋25’ 개최
특정 기업 및 산업 특화 AI 중요성 강조
“쓰레기 데이터에서 새로운 인사이트 뽑는 게 경쟁력”

[이데일리 김세연 기자]

17일 서울 강남구 아모리스 역삼점에서 열린 ‘워트 테크 써밋25’에서 윤정호 워트인텔리전스 대표가 버티컬AI의 중요성에 대해 말하고 있다.(사진=김세연기자)
윤정호 워트인텔리전스 대표는 특정 산업이나 분야에 특화된 ‘버티컬AI’가 주목받는 이유를 이같이 설명했다. AI가 점차 발전하며 기업 및 데이터센터, 클라우드 등에 축적된 소위 ‘쓰레기 데이터’가 많아졌고 이를 활용하는 것이 곧 경쟁력이 됐다. 특화된 분야에 대해 검색하고 분석하는 버티컬AI는 이 쓰레기 데이터 또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준다는 게 윤 대표의 설명이다.

17일 서울 강남구 아모리스 역삼점에서 열린 ‘워트 테크 써밋25’에서는 버티컬AI를 활용한 전략 중 특히 지식재산권(IP)과의 시너지 효과에 대해 중점적인 논의가 이뤄졌다. 윤 대표는 특허 데이터를 중심으로 AI서비스를 제공하는 자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버티컬AI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윤 대표는 자사의 기술에 대해 “우리 기업이 잘하는 기술과 새롭게 만들어가야 하는 기술을 데이터로 찾을 수 있다”며 “기사만 붙여 넣어도 해당 기업에는 어떤 핵심 기술이 있고 어떤 특허와 연관돼 있는지 찾아준다”고 설명했다. AI가 기업이 평소에 쓰지 않는 정보 속에서도 인사이트를 찾아 방향성을 제시하고 관련 특허 분쟁점이나 특허를 얻으면 좋을 기술 등을 찾아준다는 논리다.



윤 대표를 포함해 이날 연사들의 말을 종합해보면 AI 서비스 속에서 쌓인 데이터를 새로운 재산으로 창출하는 것이 현재 AI 시장에서 성장 동략이 된다. 거대언어모델(LLM) 후발 주자인 우리나라가 AI 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비결이기도 하다.

이날 연사로 참여한 황민호 카카오 기술전략 수석도 “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고객의 피드백을 듣고 고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프로세스가 필요하다. 내부 데이터 현황을 파악할 필요가 있고 내부의 다양한 서비스를 연결하고 서버 데이터를 활용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그간 기업 내부에서 무의미하게 쌓인 ‘쓰레기 데이터’가 버티컬AI의 입력값이 되고, 버티컬AI를 통해 생산된 새로운 인사이트는 향후 또 다시 버티컬AI의 입력값이 돼 더 향상된 인사이트를 창출하는 ‘데이터계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도 조언했다. 일례로 카카오도 메신저, 쇼핑, 지도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이에 따라 창출되는 고객 데이터 형식이 달라 이들을 종합한 인사이트는 그간 내지 못하고 있었다. 황 수석은 내부 서비스 데이터들을 관리하는 버티컬AI 덕에 새로운 인사이트를 창출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버티컬AI 흐름에 따라 우리나라 스타트업계는 기업 내부 데이터를 관리하는 AI에이전트를 제공하는 등 관련 기술을 계속해서 내놓고 있다. 이외에도 신약 물질을 찾아주는 AI, 건설 환경에 특화된 AI, 검색 엔진에 특화된 등 특정 산업을 타겟으로 한 버티컬AI를 누가 먼저 떠올리고 산업과 밀접하게 만드느냐가 새로운 경쟁력이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