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미접종국, 북한·에리트레아뿐…"새 진원지 될수도"

by이현정 기자
2022.04.25 10:30:51

유엔 "북한, 국경봉쇄로 국내 바이러스 전파는 막아"
"보건 위기·경제적 결핍 등 더 큰 비용 치러"
북한, 백신 지원해도 "안받아"…"설득 방법 찾아야"
"유통기한 짧은 백신 대신 항바이러스제 대안 가능성"

[이데일리 이현정 인턴기자] 전 세계에서 아직까지 코로나19 바이러스 백신 접종을 시작조차 하지 않은 나라는 북한과 에리트레아뿐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스크를 착용한 북한 시민이 평양 시내를 거닐고 있다. (사진=AFP)
워싱턴포스트(WP)는 24일(현지시간) “북한이 전 세계에서 단 두 곳에 불과한 백신 미접종국 중 하나”라며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한 인도주의적 위기가 우려된다”고 보도했다.

많은 나라들이 방역 조치 완화 정책을 펼치고 있지만 북한은 최소한의 무역을 제외하고는 국경 봉쇄를 유지하고 있다. 외교관과 인도주의 단체, 관광객의 입국도 막고 있어 피해 상황은 정확히 알려지지 않고 있다.

토마스 오헤아 킨타나 유엔(UN)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은 보고서에서 “북한은 봉쇄와 같은 엄격한 규제로 국내 전파를 막은 것으로 보이지만 더 넓은 의미의 보건 위기와 경제적 결핍 등 막대한 비용을 치른 것으로 추정된다”고 지적했다.



킨타나 보고관은 그러면서 북한의 인도주의적 위기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국제사회가 북한 인구 2500만명을 위한 6000만회의 접종분을 전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하지만 정작 북한은 부작용 등을 이유로 백신 지원을 번번이 거절하고 있다. 지난 해 중국 시노백 백신의 200만회 접종분과 영국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300만회 접종분도 받아들이지 않았다.

미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는 보고서에서 북한이 화이자와 모더나 같은 리보핵산(mRNA) 백신을 선호하고 있다고 추정했다. 그러면서 백신 접종이 전혀 이뤄지지 않은 북한이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새로운 진원지가 될 수 있다고 꼬집었다.

킨타나 보고관은 국제사회가 북한을 설득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CSIS는 백신처럼 냉장 유통이 필요하지 않고 비교적 보관과 이동이 쉬운 항바이러스제 지원이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