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고금리 여파에 '살생부 기업' 5년래 최다
by정병묵 기자
2023.12.18 12:00:00
채권은행 23년 정기신용위험평가…부실징후기업 231개사
작년보다 46곳 늘어…C등급 118개사, D등급 113개사
작년부터 증가세…금감원 "은행 건전성 영향은 크지 않아"
[이데일리 정병묵 기자] 올해 경기침체와 금리 인상 여파로 워크아웃(재무구조 개선작업)이나 회생 절차가 필요한 ‘살생부 기업’ 숫자가 최근 5년래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금융감독원은 채권은행 2023년 정기 신용위험평가 결과, 231개사가 부실징후기업으로 선정됐다고 18일 밝혔다. 전년 대비 46곳 늘어났다.
신용위험평가는 은행권이 구조조정에 들어갈 대상 기업을 골라내는 절차다. 채권은행은 매년 고객 기업에 대한 재무평가 등의 기본평가를 거쳐 한계기업이나 완전자본잠식(자본총계 마이너스기업) 기업 등 일정 요건에 해당하면 추가로 촘촘한 세부평가를 실시한다. 이를 통해 기업을 네 등급(A·B·C·D)으로 분류한 뒤 C와 D기업에 각각 워크아웃과 회생절차를 추진한다.
올해 워크아웃이 필요한 C등급은 118개사, 회생절차가 적합한 D등급은 113개사로 전년 대비 각각 34개, 12개씩 늘어났다. 금융권 신용공여 500억원 이상 대기업은 9개사, 중소기업은 222개사로 전년 대비 각각 7개사, 39개사 증가했다.
부실징후기업 숫자는 지난 2020~2021년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중 감소했다가 2022년부터 증가추세로 전환한 뒤 올해 5년래 최대치를 찍었다.
금감원 측은 “2022년에 이어 대내외 경기부진 및 원가상승 등으로 기업의 수익성 악화가 이어지고 올해 본격 금리 상승 영향을 받으면서 높아진 금융비용 부담으로 연체 발생 기업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 정기 신용위험평가 개요 및 절차(자료:금융감독원) |
|
업종별로는 부동산(22개), 도매·상품중개(19개), 기계·장비, 고무·플라스틱, 금속가공업(각 18개)에서 부실징후기업이 많이 나왔다.전년 대비 고무·플라스틱(11개), 자동차(8개), 부동산(7개), 도매·상품중개(6개) 등에서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늘어났다.
금감원은 부실징후기업에 대한 금융권 신용공여 규모는 지난 9월 말 기준 2조7000억원 수준으로 국내은행의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또 부실징후기업 선정에 따른 은행권의 충당금 추가 적립 추정액은 약 3500억원이며, 이에 따른 BIS 비율 변화폭 또한 미미한 수준이라고 덧붙였다. 올해 6월 말 국내은행 BIS 총자본비율은 16.68%로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시 0.02%포인트 하락한다.
금감원은 부실징후기업에 대한 신속한 워크아웃 및 부실 정리를 유도할 계획이다. 자구계획 전제 하에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높은 기업은 워크아웃을 유도하여 채권단 중심의 경영정상화을 지원한다. 정상화 가능성이 낮은 기업은 법적 구조조정 등을 유도하여 부실을 신속히 정리헤 시장 불확실성을 해소한다.
금감원 측은 “영업력은 있으나 금융비용 상승으로 일시적 유동성 애로를 겪는 기업에 대해 신속금융지원, 프리워크아웃 등을 통한 위기극복을 지원할 것”이라며 “경영위기 중소기업이 유관기관(산업통상자원부·중소벤처기업부) 지원을 폭넓게 받도록 하겠다”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