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 빚 연령별로 보니…청년층 대출액 4년 만에 27%↑

by하상렬 기자
2023.09.26 11:00:00

[9월 금융안정 상황]
청년층, 주택 대출 중심으로 가계대출↑
채무상환능력 저하되고 취약차주 중심 연체율 상승
고령층 개인사업자 대출 확대… LTI 350% 부실 위험↑

[이데일리 하상렬 기자]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청년층(30대 이하)의 대출은 주택 관련 가계대출을 중심으로 가파르게 상승한 것으로 드러났다. 청년층의 대출 연체율은 취약차주를 중심으로 상승하고 있는 가운데, 잠재취약차주 비중도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사진=이데일리DB
한국은행은 26일 금융통화위원회 정기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9월 금융안정 상황’을 점검했다고 밝혔다.

한은이 코로나19 이후 늘어난 가계부문 대출을 연령별로 분석한 결과, 각각 차별화된 특성을 보였다. 청년층에선 주택 관련 가계대출을 중심으로 빠르게 늘어난 반면, 중장년층(40대 및 50대)과 고령층(60대 이상)은 개인사업자 대출 위주로 자금조달을 확대했다.

구체적으로 청년층은 전세자금대출 확대와 함께 대출 접근성 개선 및 특례보금자리론 공급 등에 힘입어 주택담보대출을 활용한 실거주용 주택구입을 늘렸다. 2019년 약 6200만원에 불과했던 청년층의 1인당 가계대출 규모는 올해 약 7900만원까지 치솟았다. 4년 만에 27% 정도나 늘어난 것이다. 같은 기간 중장년층이 약 900만원(9%), 고령층이 약 100만원(1%) 늘어난 것에 비해 매우 높은 수준이다.

청년층은 자산 측면에서 채무상환능력(부채/순자산)이 저하되고 있다. 자산대비 부채비율이 2017년 31.6%에서 작년 39.0%로 급격히 상승했다. 동기간 중장년층(25.4%→23.0%)과 고령층(125.4%→23.0%)에 비해 크게 높아진 것이다. 최근 취약차주를 중심으로 연체율도 상승하고 있다. 2021년 1분기 5.32% 수준이었던 취약차주 연체율은 올 2분기 8.41%까지 올랐다. 청년층에서 취약차주 비중은 7.2%에 달해 여타 연령층(6.0%)에 비해 높다.

잠재취약차주도 늘어나는 추세다. 잠재취약차주 중 청년층 비중은 2021년 1분기 16.2%로 여타 연령층(16.4%)에 비해 낮지만, 2분기 17.8%로 여타 연령층(16.9%)보다 높아졌다.





중년층(40대)은 고가주택 매입수요 등으로 가계대출이 증가했다. 중년층은 1인당 가계대출액이 1억1000만원으로 연령층 중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인 가운데, 최근 고가주택을 중심으로 주택매입에 나서면서 주택 관련 대출이 늘어나고 있다. 주택가격이 15억원을 초과하는 주택을 매입하는 비중은 중년층이 올 2분기 기준 40.2%로 16~22% 수준을 보인 여타 연령층을 압도했다.

장년층(50대)과 고령층은 개인사업자 대출이 증가했다. 특히 고령층은 노후 대비 자영업 또는 자산투자 활용 등을 위한 상업용 부동산 매입수요가 높아 비은행권 개인사업자 대출이 확대됐다. 고령층의 개인사업자 대출 비중은 2분기 30.8%로 여타 연령대(19.5%)에 비해 높았다.

한은은 최근 고령층 자영업자를 중심으로 연체율이 상승하고 있다는 점을 주목했다. 고령층은 가계부채 증가가 두드러지지 않지만, 여타 연령층에 비해 1인당 개인사업자 대출 규모가 큰 데다 자영업자 소득도 부진해 부실 우려가 커지고 있다는 평가다. 경기회복이 지연되고 부동산시장 부진이 발생할 경우 고령층 개인사업자 대출 부실이 가계대출로 전이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다. 가계대출뿐 아니라 개인사업자 대출을 포함한 소득대비대출비율(LTI)은 2분기 기준 고령층이 350%로 여타 연령층(청년층 262%, 중장년층 301%)에 비해 높은 수준을 보였다.



한은은 앞으로 청년층이 주택구입과정에서 과도한 차입으로 리스크가 커지지 않도록 부채관리를 강화하고, 고령층의 대출 확대와 부실위험 억제를 위해 비은행권 신용리스크 관리체계를 정비, 개인사업자 대출 여신심사 강화 등과 함께 고령층 소득기반 확충 등 지원책도 병행해 나가야 한다는 제언했다.

우선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적용 대상 대출을 점차 확대해 나가면서, 장기 주담대 등의 경우 차주의 상환능력 심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중장기적으로 주택시장의 가계대출 의존도를 낮추면서 분할상환 대출 비중을 늘리고 일시상환방식의 기존대출도 일부 원금상환이 이뤄지도록 유도해야 한다고도 짚었다.

또한 비은행권 신용리스크 관리쳬게를 정비하고 과다차입으로 상환부담이 커진 취약부문의 부실 가능성에 대한 상시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고령층의 경우 역모기지 확대 등을 통해 노후자금 조달 여력을 확대하고 개인사업자 대출에 대한 규제 기반을 마련하는 등의 방안을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