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들 싸울 때 침 뱉는 것 같아” 비웃음 산 ‘오물풍선’[중국나라]

by이명철 기자
2024.06.03 11:03:55

북한, 지난달부터 1000여개 오물 풍선 한국에 날려 보내
中서 남북 문제 화제 올라 “북한이 선의로 중단” 옹호론도
中, 한반도 문제 ‘당사국 안보 우려 해결’ 중립적 입장 유지

[베이징=이데일리 이명철 특파원] 북한이 우리나라에 날려 보낸 오물 풍선이 중국에서도 화제가 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선 오랫동안 긴장된 상태인 남북이 풍선이나 삐라(전단) 등을 서로 뿌리는 모습을 보며 조소하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북한이 남한에 풍선을 보낸 건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는 옹호론도 보인다.

지난 2일 경기도 시흥시 한 쇼핑몰 주차장에서 관계자가 북한이 살포한 것으로 추정되는 오물 풍선 잔해를 수거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3일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북한은 지난 1일부터 남쪽으로 오물 풍선을 날려 보내 서울·경기·충청·경북 지역에서 발견됐다.

이번에 발견된 건 720여개이고 지난달 28~29일 북한이 날린 260개를 더하면 약 1000개의 오물 풍선이 한국으로 날아왔다.

우리 정부는 북한의 도발에 유감을 표하고 오물 풍선을 날리는 등의 행위를 중단하지 않으면 심리전 수단인 대북 확성기 방송을 검토하겠다고 경고했다. 결국 북한은 김강일 북한 국방성 부상 명의의 담화를 통해 오물 풍선 살포 중단을 선언했다.

남북의 오물 풍선 신경전은 중국에서도 큰 관심을 받았다. 이날 오전 중국 최대 포털 바이두에서는 북한의 오물 풍선 살포 및 중단 이슈가 실시간 인기 검색어 1위에 올랐다.

북한이 한국에 대한 오물 풍선 살포를 중단하기로 했다는 현지 매체 보도나 인터넷 게시글에는 수백개 이상의 댓글이 달리기도 했다.

지난 2일 서울 성동구 마장동에서 발견된 대남 오물풍선 내용물. (사진=연합뉴스)


우선 오물 풍선을 날려 보내는 행위 자체에 대한 거리낌이 있다. “오물 풍선은 타격을 주지 않지만 매우 모욕적이고 역겹다”는 의견이 나왔다.

오물 풍선이 이슈가 되는 것을 희화화하는 분위기가 많다. 한 네티즌은 “풍선을 띄우려면 많은 수소가 필요한데 사실 (북한은) 풍선(을 날려보낼 돈이) 다 떨어졌다”고 비꼬았다. “고릴라는 일반적으로 싸울 때 똥을 던진다”며 북한의 오물 풍선 살포 행태를 비웃는 네티즌도 있었다.



다른 네티즌은 “어릴 때 싸움에서 이기지 못하는 사람이 침을 뱉는 것과 같다”거나 “두 개의 작은 인형이 말다툼하는 것처럼 너무 없어 보인다”며 남북 긴장을 낮춰 보는 의견도 달았다.

“지금은 풍향 때문에 중단했을 뿐 미국의 동맹국에게 계속 풍선을 날려야 한다”는 북한측 지지 의견도 보인다.

또 다른 네티즌은 인터넷 게시글에 “북한은 (오물 풍선 살포가) 한국의 비우호적인 행태에 대한 대응이라고 하고 쓰레기를 인위적으로 버린게 아니라 천재지변 등 불가항력 요인에 의한 것으로 보고 있다”며 “그럼에도 북한은 선의의 표시로 남한에 쓰레기를 버리는 것을 중단하기로 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한반도 문제에 있어서 중국의 태도는 중요하다. 중국이 북한에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 정부는 북한이 핵 개발을 지속하고 한국에 대한 무력시위를 벌이는 상황에서 중국이 한반도 평화를 위해 보다 강력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 정부는 공식적으로 한반도 문제에 대해 당사국의 합리적 안보 우려 해결이 우선이라는 중립적인 입장이다.

왕이 중국공산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 겸 외교부장은 지난달 13일 베이징에서 조태열 외교부 장관을 만나 한반도 문제와 관련해 “중국의 대(對) 한반도 정책은 변함없다”고 밝히기도 했다.

윤석열(왼쪽) 대통령과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가 지난달 27일 서울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제9차 한일중 정상회의 공동기자회견에 참석해있다. (사진=연합뉴스)


중국 내에서도 한반도 평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되기도 했다.

한 소셜미디어 이용자는 “남북 긴장 고조가 동북아 안보 지형에 미치는 영향은 군사적, 정치적, 경제적 차원을 포함해 다면적”이라며 “모든 당사자는 동북아 지역의 장기적인 안정과 안보를 유지하기 위해 외교와 국제 협력을 통해 평화적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데일리 문승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