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금리 인하..시중자금 어디로 이동할까

by김현동 기자
2004.08.13 14:17:29

400조원규모 향방 관심..주식연계상품이나 확정형 채권 `유력`
부동산정책 방향따라 부동산으로 자금 옮아갈수도

[edaily 김현동기자] 한국은행의 전격적인 콜금리 인하로 400조원으로 추산되는 시중 부동자금이 어디로 이동할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3%대로 떨어진 정기예금 금리에 만족하지 못하는 자금은 이미 투신권의 채권형 상품으로 이동하기 시작했다. 미래에 대한 기대수익률을 먹고 사는 주식시장도 고객예탁금이 3개월 연속 감소해 투자매력이 극도로 떨어진 상황이다. 그나마 부자들의 투자대상으로 꼽히던 부동산도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서울지역 아파트의 평균 분양가가 자율화이후 처음으로 하락한 가운데 정부가 내년에 도입할 예정인 종합부동산세로 인해 투자심리가 냉각된 상태이다. ◇콜금리 인하 `뒤늦은 사인` 전문가들은 한국은행의 콜금리 인하가 기존 부동자금의 이동을 부채질할 정도의 역할을 할 뿐, 한 방향으로 이동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은행권의 1년만기 정기예금 금리가 3%대를 맴돌던 상황에서 지난 7월 물가상승률은 4.4%였다. 은행 이자에 물가상승률을 빼고 여기에 이자소득세(16.5%)까지 감안한다면 돈을 맡기면 맡길수록 손해를 보는 상황이다. 1억원을 은행에 예치할 경우 연간 많게는 90만원까지 고스란히 잃는 셈이다. 한국은행이 지난 11일 `7월중 금융시장동향`에서 밝혔듯이 이미 시중자금의 단기 부동화 현상이 나타났다. 정기예금이 3개월 연속 감소하며 1조2000억원이 빠져나간 것을 비롯해 은행권 수신은 6조5000억원 급감했다. 주식시장의 자금이탈도 계속됐다. 주식투자 대기자금인 고객예탁금의 7월말 잔액은 7조8422억원으로 3개월 연속 감소했다. 투신사 주식형 펀드에서는 6월에 빠져나갔던 1700억원의 2.5배에 달하는 4230억원이 빠져나갔다. 반면, 뭉칫돈은 초단기 투신상품인 머니마켓펀드(MMF)로 대거 이동했다. MMF에는 2조1000억원 가까운 새돈이 유입됐고, 6개월의 환매제한기간이 적용되는 장기 채권형 펀드에도 1조2000억원이 순유입됐다. 증권사 채권영업 담당자는 "MMF로 유입된 자금은 국민연금이나 정보통신부의 아웃소싱 자금으로, 콜금리를 인하했다고 해서 시중자금이 특정한 대상으로 이동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면서 "시중자금 대부분은 금리차이를 먹기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부동산이나 고금리상품으로 이동하기 위한 대기자금"이라고 말했다. ◇부동자금, 주식·채권·부동산 어디로 튈까 한국은행의 콜금리 인하가 시중자금의 이동과 관련해 중요한 것은 콜금리 인하가 정부의 `경기부양 의지`로 해석되고 있다는 점이다. 더구나 내년 도입될 예정인 종합부동산세의 세율을 인하할 것이라는 논의도 나오고 있어 돈줄을 쥔 부자들의 투자심리 회복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현 상황에서는 자신의 투자성향에 따라 적절한 대상을 골라야겠지만, 주식보다는 채권형 상품을, 국내보다는 해외로 눈을 돌릴 것을 권하고 있다. 위성호 신한은행 PB사업부 부장은 "이번 콜금리 인하는 단순한 금리인하가 아니라 정부의 경기부양 의지를 나타낸 것이라는 점에서 부자들이 정부정책에 대해 긍정적인 느낌을 가질 수도 있을 것"이라면서 "다만, 종합부동산세 등 부동산 정책이 어떻게 진행되느냐가 중요하다"고 평가했다. 위 부장은 투자대상과 관련해서는 "기본적으로 해외시장 투자상품을 적극적으로 권유하고 있다"며 "유가가 고공행진을 벌이고 있어 주식보다는 채권으로 돈이 몰릴 수밖에 없을 것"으로 전망했다. 박정진 국민은행 압구정PB센터 PB팀장은 "당장 자금이 주식시장으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라면서 "은행권의 주가연계예금상품이나 확정금리 회사채 상품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박 팀장은 추천할 만한 투자대상으로는 "일본시장에 투자하는 뮤추얼펀드 상품이나 닛케이지수연동 주가연계예금 상품이 그나마 투자할 만 하다"고 조언했다. 최양수 굿모닝신한증권 PB영업부장은 "기존 은행권의 주가연계예금이나 확정금리 상품에 만족하지 못하면서 고수익을 원하는 고객의 경우에는 7%대까지 수익이 가능한 기업어음(CP)에 투자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최 부장은 "CP는 은행권의 일반 정기예금 수익률과 수익률 3%대 중반의 MMF에 비해 투자수익률이 높다는 점에서 어떤 종목의 CP가 발행되는지 유심히 살펴보는 것도 방법"이라고 추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