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설득부터 난제..쌍용차 아직은 산 넘어 산

by문영재 기자
2009.04.08 15:21:20

[이데일리 문영재기자] 쌍용차(003620)가 대규모 인력감축안을 발표, 일단 회생을 위한 첫 발을 내디뎠다. 

그러나 2보, 3보 전진하기 위해선 이해당사자인 노조 설득 등 해결과제들이 만만치않다. 전체인력의 36%에 해당하는 2646명을 감축하려면 고용보장을 요구하고 있는 노조와의 마찰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자동차 전문가들은 그래서 쌍용차가 회생하기까지에는 아직 넘어야 할 산이 많다고 지적하고 있다.



쌍용차는 단기 정상화 방안으로 대규모 인력감축과 자산매각을 통한 유동성 확보에 초점을 맞췄다.

쌍용차는 현재 상황에서 2646명의 직원들이 유휴인력이라며 고정비를 줄이기 위해 이들의 고통분담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 단기 유동성 확보를 위한 자구책으로 포승공단과 영동물류센터등 운휴자산에 대한 매각을 제시했다.

이유일 공동관리인은 "구조조정을 포함한 강도 높은 자구노력은 회생논의의 필수 선행요소"라고 강조했다.  

업계에서는 이 정도의 인력감축으로는 생존보장을 장담할 수 없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항구 산업연구원 기계산업팀장은 "연간 10만대 생산체제로는 인력감축 후에도 고정비 부담을 고스란히 떠안고 갈수밖에 없다"며 "판매부진 속에 매출과 수익이 급감하며 적자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쌍용차의 부채는 지난해 말 현재 1조4589억원, 당기순손실은 1861억원에 달한다.


쌍용차는 제품과 마케팅에서 매년 1개 신모델을 양산하는 등 향후 5년내 5개 신차를 출시하고 친환경 차량 등 시장 트렌드를 반영한 제품을 내놓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함께 국내 영업 네트워크의 효율성 극대화와 해외 신시장 개척 등을 적극 추진키로 했다.

업계에서는 구체적인 대안마련이 아쉽다는 반응이다. 법원이 쌍용차의 이번 방안에 대해 기대치에 못 미친다며, 좀 더 구체적이고 확실한 계획을 요구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전세계 경기침체 여파로 글로벌 메이커들도 휘청대고 있는 상황에서 내수시장에서조차 비교우위 차종을 갖고 있지 못한 현실을 깨지 못하면 상황 개선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평가다. 넉넉치 못한 자금사정도 문제다. 

이항구 팀장은 "과감한 재무구조개선과 함께 자금확보, 다른 업체와의 제휴방안 등이 적극 모색돼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인력감축 문제와 관련해 노조측이 거세게 맞설 경우, 공장의 정상가동에도 상당한 애로가 생길 수 있다. 

이미 쌍용차 노조측은 사측의 인력감축에 대해 "노동자들에게 고통전담을 강요한다면 엄청난 저항에 직면할 것"이라며 반대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이를 의식한듯 이유일 공동관리인은 "경영정상화 방안을 실천해 가는데 있어 적잖은 난관도 있을 것"이라며 "뼈를 깎는 자구노력을 통해 회생에 대한 신뢰를 확보해 나가는게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