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日관계 훈풍 속..3대 협력사업으로 '반도체·배터리·모빌리티' 꼽혀

by최영지 기자
2023.03.28 11:00:00

전경련, 신산업 분야 한일 협력 증진 방안 조사
기술 공동개발·소재 협력 등 제시
"긴밀 협력 통해 신산업 분야 경쟁우위 확보"

[이데일리 최영지 기자]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최근 한일 정상회담을 계기로 정상화된 한일 관계를 기반으로 향후 양국 간 경제협력이 필요한 신산업으로 반도체와 배터리(이차전지), 모빌리티를 꼽았다.

28일 전경련은 산업연구원에 의뢰한 ‘신산업 분야 한일 협력 증진 방안’ 보고서에서 한일 협력이 유망한 신산업 분야로 차세대 반도체, 전기차·배터리, 모빌리티 등을 제시했다.

먼저, 미국의 자국 주도 공급망 재편으로 우리 기업들의 입지가 협소해졌다는 평가를 받는 반도체 산업의 경우, 일본과의 기술협력 체계 구축을 통해 차세대 반도체 개발이 필요하다는 게 보고서 주장이다.

구체적인 협력방안으로 양국 간 경쟁우위를 활용한 원천기술 등 공동개발, 한국 반도체 기업의 일본 내 연구개발(R&D) 시설 투자, 한국의 반도체 클러스터 내에 일본 첨단기업 유치 등을 제시했다. 산업연구원은 과거 삼성전자(005930) 등 국내기업이 일본의 소니, 도시바 등과 기술을 공동개발한 사례, 최근 일본이 대만의 TSMC 후공정 생산 시설을 유치한 사례 등을 고려할 때 이 같은 협력방안이 가능할 것이라고 봤다.

또, 글로벌 자동차시장에서 전기차로의 전환이 급격히 이뤄지고 있어, 핵심부품인 배터리 분야에서 한일 간 기술협력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중국 등 신흥 자동차 생산국은 내연기관차에서의 경쟁열위를 전기차를 통해 역전시키기 위해 배터리 산업에 집중하고 있으며, 유럽 등 완성차 강국들도 향후 2035∼2040년 내연기관차의 생산을 축소 또는 중지를 목표로 배터리 육성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배터리 산업 소재부문의 대외의존도가 크다는 특성 상 일본과의 협력 효과가 클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지난 2월 말 양국 기업이 미국 오하이오에 배터리 공장을 공동 착공한 사례를 언급하며 이같은 사업이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한일 협력이 유망하다고 보는 세번째 신산업은 모빌리티 산업으로, 자율주행 기술을 비롯해 고정밀 지도 작성 기술, 배터리 기술, MaaS 플랫폼 기술 등이 필요하다고 했다.

한일 양국 간 협력이 원활하게 이뤄지기 위해 필요한 정책과제로는 양국 정부 간 공식 대화 채널 복원, 한일 공동연구 성과 공유 및 활용 제고, 신산업 분야 협력 위한 공동 컨트롤타워 운영 등 세 가지를 제시했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산업본부장은 “한일 양국은 1960년대 이후 50년간 기업 간 기술제휴 및 고숙련 기술자 교류 등을 통해 서로의 경제발전에 도움을 주고받는 관계였으나, 2019년 관계가 경색되면서 이러한 상호발전 관계가 상당부분 축소된 상태”라며 “글로벌 공급망 재편, 기후변화 등 대외환경이 급변하는 상황에서 한국과 일본이 긴밀한 협력을 통해 대응한다면, 신산업 분야의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