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악 적자’ 한전, 부동산·출자지분 매각 착수…6조원 규모 자구책 본격화

by김형욱 기자
2022.06.16 11:10:10

1300억원 자산 매각 마쳐…유동성도 1.3조원 확보
필리핀 세부 등 해외 석탄화력 매각 추진도 본격화
3분기 전기요금 인상 계획도 제출…정부 결정 ‘주목’

[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올 1분기 7조8000억원에 이르는 사상 최대 적자를 기록한 한국전력공사(015760)가 부동산·출자지분 매각 등 자금 확보 작업에 본격 착수했다. 6조원 이상의 자금 확보를 목표로 한 가운데 16일 현재 1300억원 규모 자산매각과 1조3000억원의 재무개선 계획을 마무리했다.

한전은 이 같은 자구 노력을 토대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발 발전연료비 급등분 일부를 전기요금에 반영한다는 계획이다. 물가 인상 우려와 한전 위기라는 두 선택지를 받아든 정부의 결정에 관심이 쏠린다.

한전은 16일 ‘전기요금 인상요인 최소화를 위한 한전의 재무개선 및 경영혁신 노력’ 보도참고자료를 배포하고, 현재 추진 중인 재무개선 현황을 공개했다.

한전은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발전연료비 상승 여파로 지난해 역대 최대 규모인 5조9000억원의 영업적자를 낸 데 이어, 올 1분기엔 메출의 절반에 육박하는 7조8000억원의 대규모 적자를 기록했다. 러-우크라 전쟁발 국제유가 급등 여파다. 한전은 이에 지난 5월18일 6개 발전 자회사를 포함한 전력그룹사 사장단과 비상대책위원회를 열고 3조4000억원에 이르는 국내외 자산 매각·구조조정을 포함한 6조원 규모의 자구안 추진 계획을 발표했다.

한전은 이후 한 달 남짓 기간 총 1300억원의 자산 매각을 마쳤다. 신안태양광 투자비를 회수(125억원)하고, 한국전기차충전 지분 17.50% 매각(28억원), 의정부변전소 잔여부지 15곳 중 2곳 매각(84억원), 한전기술 용인사옥 매각(1000억원) 등 매각을 마쳤다.

4000억원에 이르는 한전기술(052690) 지분 14.77% 매각도 이사회에 상정했다. 또 필리핀 세부 석탄화력발전소도 매각주관사를 선정하는 등 연내 매각 완료를 위한 절차에 착수했다. 발전 자회사가 보유한 해외 석탄광산 매각 협의체도 꾸렸다. 매각 가능한 부동산 역시 매각 작업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또 투자사업 시기를 미루는 방식으로 6000억원 규모의 자금 여력을 확보했다. 연내 이를 1조원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발전소 계획예방정비 기준 최적화와 경상경비 절감, 출연사업 재검토로 7000억원 규모의 비용을 절감했다. 이 역시 연내 1조5000억원으로 확대한다. 그밖에 5개 화력발전 자회사 유연탄 공동구매를 확대하고, 액화천연가스(LNG) 직도입 확대 방안도 정부와 협의키로 했다.

한전은 그밖에도 한국가스공사(036460)나 한국지역난방공사(071320) 에너지 공기업 보유 지분도 산업은행 같은 국책은행에 양도하는 방안을 정부와 협의키로 했다. 연내 한국전력공사법을 개정해 사채발행 한도가 막힐 가능성도 미리 대비하기로 했다. 발전사 기대이익과 연계한 용량요금 제도 설계안을 마련해 전력 도매시장 안정화도 꾀한다. 조직, 인력 효율화도 병행키로 했다. 한전은 가칭 비상경영추진실을 설립해 이 같은 재무개선 추진에 속도를 내기로 했다.

한전은 이 같은 자구노력을 토대로 급등한 발전 연료비를 소비자요금에 일부 반영해 사상 최악의 적자 상황을 완화한다는 계획이다.

한전은 이날 주무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에 3분기 연료비 조정단가 인상안을 제출했다. 법정 최대 한도인 3원/㎾h 인상안을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기요금은 110원/킬로와트시(㎾h) 전후로 고정돼 있는 가운데, 한전이 사들이는 전력 도매가는 올 들어 130~200원/킬로와트시(㎾h)를 넘나들고 있다. 그러나 소비자물가 급등 우려 속 물가관리 당국인 기획재정부와의 협의가 원만할지는 미지수다.

한전 관계자는 “대표 공기업으로서 뼈를 깎는 노력으로 국가 경제 위기 상황 속 민생 부담을 최소화할 것”이라며 “탄소중립 이행 선도와 과감한 제도 혁신, 서비스 강화로 고객 선택권도 넓힐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18일 오후 서울 서초구 한전아트센터에서 열린 한국전력공사 전력그룹사 비상대책회의에 참석하는 그룹사 대표자들이 회의실로 들어서고 있다. (사진=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