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김영환 기자
2025.03.25 09:24:14
제휴 의사는 28%, 조제 참여 약국은 46% 증가…의료 현장 수용도도↑
“지속가능한 비대면진료 위한 ‘법제화’, 더 이상 미뤄선 안돼”
[이데일리 김영환 기자] 원격의료산업협의회(원산협)는 비대면진료 시범사업이 전면허용으로 전환된 지난 1년간 비대면진료가 137%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25일 밝혔다. 원산협은 “비대면진료가 국민 필수 의료 서비스로 자리 잡았다”라며 “비대면진료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기 위해서 법제화가 반드시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원산협에 따르면 지난해 3월부터 지난 1월까지 10개월간 월별 진료 요청 건수는 8만177건에서 18만9946건으로 늘었다. 같은 기간 월별 제휴 의사 수는 1196명에서 1536명으로 28.4%, 월별 처방약을 조제한 약국은 8556개에서 1만2524개로 46.4% 증가했다.
지난해 2월 23일 비대면진료가 전면 허용된 후 빠르게 비대면진료를 활용하는 환자 및 의사, 약국이 늘어나고 있다. 전면 허용 이후 비대면진료 플랫폼을 통해 약 140만 건 이상의 진료 요청이 이루어지고 약 680만 명의 이용자가 비대면진료 플랫폼을 방문한 것으로 조사됐다.
원산협 회장사인 닥터나우에 따르면 비대면진료에 따른 처방 약 조제에 참여한 약국은 1만6956개소로 전국 약국 2만5160개소의 67.3%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대면진료가 실험 단계를 넘어 의료체계의 실질적인 한 축으로 자리매김했다고 원산협 측은 밝혔다.
호응도도 높아졌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비대면진료 시범사업 수행 실적 평가 연구’에 따르면 비대면진료를 이용한 환자의 82.5%는 ‘비대면진료가 대면진료만큼 안전’(50.1%)하거나 ‘대면진료보다 불안하지 않다’(32.4%)고 답했다. 94.9%가 비대면 의료 서비스에 대해 보통 이상으로 만족했고 91.7%는 ‘앞으로도 이용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의사의 84.7%, 약사의 67.0% 역시 ‘비대면진료를 계속 이용하겠다’고 긍정적으로 답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