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인하? 난감한 車업계 "판촉확대는 검토"

by김종수 기자
2009.04.01 14:40:13

[이데일리 김종수기자] 국내 완성차 업체들이 정부의 `선(先) 자구노력-후(後) 지원` 방침을 놓고 고민에 빠졌다. 
 
중고차 보유자들의 신차구입시 세금감면 등 지원책을 마련중인 정부가 완성차 업체들의 `화답`조치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통령까지 나서서 현대차그룹의 노사관계 개선을 언급하고 있는 양상이다. 정부 일각에서는 차량 가격 인하조치를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업체는 차량가격 인하보다는 판촉조건을 확대하는 쪽으로 가닥잡는 분위기다. 사실상의 인하효과가 나도록 하되, 이를 한시적으로 제한된 조건에서 운용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1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005380)·기아차(000270) 등 완성차 5사는 각사의 경영현황, 판매상황 등에서 격차가 크게 발생하는 점을 감안, 차량 가격을 일괄적으로 할인하기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A사 관계자는 "차 가격은 각사가 가장 민감하게 고려하는 정책 중 하나"라고 전제한 뒤 "특히 유동성 위기, 법정관리 등으로 완성차 5사가 처한 상황이 모두 달라 차량 가격인하에 대해 의견을 모으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극심한 경기불황으로 현재의 차량가격도 각종 인상요인을 최소화 해 책정한 것"이라면서 "특히 한시적으로 운용되는 정부 정책에 맞춰 차량 가격을 인하한다면 그동안 유지해 온 가격정책의 근간이 흔들릴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업계에서는 대신 판촉조건을 좀 더 확대해 차값 인하와 유사한 효과가 나도록 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일부 업계 전문가들은 대통령이 현대 기아차의 노사관계 개선 등을 요구하고 있기는 하지만, 지금의 노사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이는 상당히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B사 관계자는 "차업계 노사관계가 개선돼야 한다는 것은 누구나 공감하는 얘기지만 수십년간 이어져온 노사관행이 하루아침에 변할 수 있겠느냐"고 말했다. 

완성차업체들은 2분기부터 판촉조건을 보다 확대해 고객들에게 혜택폭을 넓혀주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C사 관계자는 "1분기에는 불투명한 경제상황 등으로 다소 보수적인 판매목표를 설정했다"며 "여름휴가를 앞두고 2분기에는 판매 총력전을 펼쳐야 하는 상황인 만큼, 판촉조건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라고 설명했다.

업계 일각에서는 이번 정부 정책이 내수진작에 어느정도 효과는 있겠지만, 신규수요를 얼마나 창출할지에 대해선 여전히 불투명하다는 입장도 내비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