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카슈끄지 암살 배후' 사우디 왕세자 제재 못한 이유는?
by이준기 기자
2021.03.02 09:52:27
백악관 "외교관계 맺은 국가 지도자 제재한 적 없어"
국무부 "사우디 왕세자 정예부대 해체"만 거듭 촉구
[이데일리 이준기 기자] 조 바이든미국 행정부가 2018년 사우디아라비아 반(反) 체제 언론인 자말 카슈끄지 암살 사건과 관련, 제재 명단에 사우디 실권자이자 암살 사건의 배후로 지목한 무함마드 빈살만 왕세자를 올리지 않는 이유로 ‘우방 지도자에 제재를 가한 적이 없기 때문’이라는 전례를 들었다. 대신 암살 실행조직으로 지목된 무함마드 왕세자 휘하의 정예부대인 왕실경비대 신속개입군(RIF·Rapid Intervention Force)을 즉각 해체하라고 거듭 촉구했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1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우리는 우리가 선택한 시간과 방법으로 어떤 조치도 취할 권리가 있다”며 향후 무함마드 왕세자에 대한 제재 권한이 있음을 강조하면서도 “역사적으로 민주당·공화당 대통령을 이어온 미국은 외교관계를 맺은 국가의 정부 지도자에게 제재를 가한 적이 없다”고 했다. 무함마드 왕세자를 제재하지 않은 건 전적으로 전례를 따른 것일 뿐이라는 종전 주장을 거듭한 것이다. 그러면서 사키 대변인은 “우리는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올바른 조치를 하는 등 많은 조처를 했다”며 “그것이 우리의 목표”라고도 했다.
그러나 카슈끄지 암살 배후의 핵심인 무함마드 왕세자의 이름이 빠진 데 대한 비판의 목소리도 적잖다. 미 정보당국인 국가정보국(DNI)이 지난달 26일 전격 공개한 보고서에 암살 배경에 무함마드 왕세자의 승인이 있었다는 내용이 적시됐기 때문이다.
이를 두고 중동의 최대 우방인 사우디와의 외교관계를 고려한 일종의 절충안이란 해석이 나온다. 실제로 바이든 대통령과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사우디 국왕은 보고서 공개 하루 전인 25일 전화통화를 가진 바 있다. 사키 대변인은 “우리는 (카슈끄지) 보고서 발표 전부터 사우디와의 관계를 재조정하고 있다고 했다”며 “우리의 목표는 관계를 재조정하고 다신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게 하는 것이며 사우디 지도부와 협력할 방안을 찾는 것”이라고 했다.
대신 바이든 행정부는 제재 대상에 올린 RIF 해체를 강하게 요구했다. RIF는 왕세자 경호를 담당하는 조직으로, 카슈끄지 암살을 직접 실행한 당사자로 지목됐다. 네드 프라이스 국무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사우디 측에 RIF를 해체하고 반체제 관련 활동·작전이 완전히 중단되도록 제도적·시스템적 개혁을 압박했다. 이를 위해 2018년 구금됐다가 최근 석방된 여성인권 운동가인 로우자인 알하틀로울에 대한 자유로운 여행 허가 등 사우디 여성인권 옹호자와 같은 정치범 석방을 위한 압력을 지속적으로 가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