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안전장비로 중소규모 취약사업장 산업안전 지킨다

by최정훈 기자
2022.11.21 10:09:46

고용부, 과기부와 디지털 기반 안전일터 조성 업무협약 체결
디지털 기반의 스마트 안전장비 발굴…중소규모 취약 사업장 중심 지원

[이데일리 최정훈 기자] 정부가 디지털 기반 혁신기술과 서비스를 개발해 산업 안전 분야에 활용한다.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이 17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환경노동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21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이정식 고용부 장관과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이날 기아 오토랜드 광명 공장을 찾아 디지털 기반 안전 일터 조성을 위한 협력을 다짐하는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먼저 고용부는 내년부터 재해예방 효과가 입증된 디지털 기반의 스마트 안전 장비를 발굴해 추락·끼임 등 산업재해가 자주 발생하는 중소 규모 취약사업장에 지원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는 제조 현장의 순간적 끼임 사고 방지를 위한 ‘초저지연 이음5G 안전서비스’, 여름철 맨홀 작업자 질식 방지를 위한 ‘밀폐 공간 모니터링 시스템’ 같은 서비스를 개발할 계획이다.



고용부와 과기정통부는 긴밀한 협업을 통해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스마트 기술에 대한 실태조사 및 해외사례 확인, 현장 적용성 점검·평가, 사업장 지원체계 구축 등도 추진한다.

앞서 정부는 지난 8월 우리 사회의 안전관리 역량을 도약시키기 위한 ‘디지털 기반 국민안전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이후 고용부와 과기정통부는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논의해왔다.

이정식 고용부 장관은 “일터는 일하는 사람이 존중받아야 하는 곳”이라며 “특히 근로자의 불완전한 행동과 실수에도 다치거나 죽지 않도록 디지털 기술 기반의 스마트 안전장치가 적극적으로 도입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디지털 신기술을 일터 현장에 적극적으로 적용해 중대재해를 줄이고 안전한 일터를 조성하기 위한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