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호실적에 소비 석달째 증가…美 '골디락스' 힘 받나
by김정남 기자
2023.07.19 13:52:00
'딱 적당한' 골디락스 낙관론 부상
증시는 랠리중…나스닥 올해 38%↑
[뉴욕=이데일리 김정남 특파원] 미국 경제는 연방준비제도(Fed)의 초강경 긴축에도 침체를 피할 수 있을까. 최근 월가를 중심으로 ‘골디락스’(너무 뜨겁지도 너무 차갑지도 않은 이상적인 경제 상황) 낙관론이 힘을 받고 있다. 인플레이션이 둔화하는 와중에 성장세는 유지하는 시나리오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침체는 불가피하다는 관측이 비등했을 때만 해도 불안감이 역력했던 금융시장은 랠리를 펼치고 있다. 뉴욕 증시가 2년4개월 만에 최장기 상승할 정도로 투자 심리는 달아올랐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너무 높은 금리 수준을 버티는 게 쉽지 않을 것이라는 비관론도 적지 않다.
|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 (사진=AFP 제공) |
|
18일(현지시간) 미국 상무부에 따르면 지난달 소매 판매는 전월 대비 0.2% 증가했다. 전월(0.5%) 대비 성장세가 다소 줄었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시장 전망치(0.5%) 역시 하회했다. 다만 석달 연속 증가세는 그대로 이어갔다. 휘발유와 자동차 등을 제외한 근원 소매 판매는 전월 대비 0.3% 늘었다.
월가는 이번 보고서를 두고 골디락스로 해석하는 기류가 역력하다. 향후 연준의 과도한 긴축 가능성을 낮추면서도 소비는 가라앉지는 않는 시나리오가 유력하다는 의미다. 투자회사 에드워드 모야 수석시장분석가는 “전반적으로 회복력 있는 미국 경제를 보여줬다”고 평가했다. 트레이드 스테이션의 데이비드 러셀 시장분석 부사장은 “이번달 이후 연준의 추가 기준금리 인상을 우려하는 투자자들에게는 긍정적인 소식”이라고 했다.
부동산 시장의 심리도 뛰었다. 전미주택건설업협회(NAHB) 집계를 보면, 이번달 주택시장 심리지수는 56으로 전월(55) 대비 상승했다. 지난해 6월 이후 최고치다. 주택 건설 업황 개선을 암시하는 지표다.
주요 은행들의 실적까지 고공행진을 했다. 미국 2위 은행인 뱅크오브아메리카(BoA)는 올해 2분기 매출액 253억3000만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월가 전망치(250억5000만달러)를 상회했다. 1년 전보다 11% 증가한 수준이다. 주당순이익(88센트) 역시 시장 예상치(84센트)를 넘어섰다. 앞서 깜짝 실적을 공개한 JP모건체이스, 웰스파고 등과 비슷했다. 브라이언 모이니헌 BoA 최고경영자(CEO)는 “우리는 회복력 있는 고용시장과 함께 느린 속도로 성장하는 건강한 미국 경제를 보고 있다”고 말했다. 골디락스 가능성을 시사하는 언급이다. BoA 외에 모건스탠리, 찰스슈왑, 뱅크오브뉴욕(BNY)멜론 모두 예상을 웃도는 실적을 내놓았다.
릭 라이더 블랙록 글로벌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최근 블룸버그와 만나 “경기 침체 우려는 지나치게 과장돼 있다”며 “소비자들이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지출을 늘리면서 경제를 안정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이는 물가 둔화 조짐과 맞물려 더 주목받고 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전년 동월 대비 3.0%에 그친 게 대표적이다. 생산자물가지수(PPI)의 경우 1년 전보다 겨우 0.1% 올랐다. 그동안 인플레이션 우려가 컸던 캐나다마저 지난달 CPI가 전년 대비 2.8% 상승했다고 이날 밝혔다. 2021년 3월(2.2%) 이후 가장 낮다.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은 인도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 회의에 참석 중 블룸버그와 만난 자리에서 “노동시장의 진정이 인플레이션 둔화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며 “노동시장 과열이 별다른 어려움 없이 식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연준의 연내 2회 기준금리 인상론은 점차 힘을 잃고 있는 기류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이날 오후 현재 연방기금금리(FFR) 선물 시장 참가자들은 연준이 이번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금리를 5.25~5.50%로 25bp(1bp=0.01%포인트) 올릴 확률을 99.8%로 보고 있다. 다만 9월, 11월, 12월 FOMC 때 5.50~5.75%로 올릴 확률은 각각 14.0%, 26.1%, 21.5% 정도로 보고 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30~40%대였는데, 확 가라앉았다.
제레미 시겔 와튼스쿨 교수는 “지난달 CPI는 골디락스를 시사하고 있다”며 “연준이 인플레이션을 더 낮추고자 경기 침체를 감수할 이유가 전혀 없어 보인다”고 말했다.
상황이 이렇자 뉴욕 증시는 일제히 고공행진을 하고 있다.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블루칩을 모아놓은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이날까지 7거래일 연속 올랐다. 2021년 3월 이후 2년4개월 만에 가장 긴 기간 상승세를 보인 것이다. 대형주 중심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와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 지수는 올해 들어서만 각각 19% 이상, 38% 이상 폭등했다. 연초만 해도 상상하기 어려웠던 강세 폭이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금리 수준이 너무 높다 보니, 경제 상황을 마냥 낙관할 수는 없다는 관측도 적지 않다. WSJ의 최근 설문을 보면, 일부 이코노미스트들은 미국의 침체 가능성을 낮췄지만 여전히 다수는 향후 1년 내 침체에 진입할 것으로 보고 있다. 월가 금융사의 한 고위인사는 “(변동성이 큰 휘발유와 식료품을 제외한) 근원물가가 아직 높다는 점이 변수”라며 “이대로 연준이 매파적인 기조를 유지하면 예측 못할 시기에 갑자기 침체가 올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