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K99 검증위 "출연연서도 초전도 확인 못해···내달 백서 공개"

by강민구 기자
2023.09.14 11:42:26

표준연, 경희대, 부산대 실험 결과, 초전도 특성 없어
검증위 "이달 말까지 재현실험, 결과 종합해 정리"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국내 대학과 정부출연연구기관에서 퀀텀에너지연구소가 상온 초전도체(LK-99)라고 주장하는 물질 재현실험에 나섰지만, 여전히 초전도 특성을 확인하지 못했다.

한국초전도저온학회 LK-99 검증위원회는 14일 5차 서면 브리핑을 통해 “한국표준과학연구원과 경희대 에너지소재양자물성연구실, 부산대 양자물질연구실이 LK-99 재현실험에 나섰지만 초전도 특성을 보여주는 사례는 없다”고 밝혔다.

경희대 에너지소재양자물성연구실이 시료를 합성한 결과, LK-99 논문에 보고된 것처럼 황화구리 불순물이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상온에서는 전기적으로 부도체이고, 약한 상자성 특성을 보였다.

부산대 양자물질연구소가 합성한 시료는 전체적으로 초전도 특성이 아닌 반도체 특성을 나타냈다. 섭씨 영하 약 120~90도와 영상 90~110도에서는 불순물의 상전이에 의한 저항 변곡도 관찰됐다.



표준연 연구진도 복합산화물을 합성했지만, 초전도성을 보이는 LK-99 재현시료를 얻어내지 못했다. 전구체인 라나카이트의 순도가 높더라도 LK-99 주상 이외에 특정해야 할 잔여상들이 너무 많아 소결조건의 재탐색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현재까지 검증위에는 △고려대 초전도 재료응용연구실 △서울대 복합물질상태연구단 △성균관대 양자물질초전도연구단 △경희대 에너지소재양자물성연구실 △부산대 양자물질연구실 △성균관대 전자활성에너지소재연구실 △한양대 고압연구소 △포항공대 물리학과에서 참여해왔다.

검증위는 “9월말까지 재현실험을 할 예정이며, 외국 논문과 국내 재현실험연구 결과를 종합 검토해 10월 중으로 LK-99 검증 내용을 백서로 정리해 공개할 계획”이라고 했다.

경희대 연구진의 재현실험 내용.(자료=LK-99 검증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