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김은경 기자
2022.12.06 11:40:35
[이데일리 김은경 기자]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화물연대)가 총파업에 돌입한 지 13일차를 맞은 6일, 철강 업체들의 어려움이 본격화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달 23일부터 이날 오전 10시까지 협회가 화물연대 파업과 관련해 기업의 애로사항을 접수한 결과 첫날부터 총 82개사에서 139건의 피해 사례가 모였다.
애로사항을 접수한 국내 수출 기업 중 43.2%(60건)는 납품 지연에 따른 위약금 발생과 해외 바이어 거래선 단절을 우려하고 있다. 29.5%(41건)는 화물연대 집단운송거부로 물류비가 증가하는 피해를 겪고 있다. 원자재 조달에 차질을 빚어 생산을 중단할 위기에 놓인 사례도 22.3%(31건)에 달한다. 공장·항만 반출입 차질로 물품을 폐기한 곳은 5.0%(7건)로 나타났다.
철강 소재를 수입·가공해 국내에 납품하는 A사는 철강 소재가 항만에 도착했으나, 화물연대 집단운송거부로 공장 입고가 되지 않는 상황을 겪고 있다. 공장 휴무(생산중단)에 따라 피해가 불가피하며, 파업이 장기화할수록 추가 피해가 커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실제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전날까지 국내 철강산업의 출하 차질은 주요 5개사 기준 약 92만톤(t), 금액으로는 1조200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업계는 정부의 업무개시명령 발동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정부는 이날 국무회의에서 정유·철강 분야에 대해 추가 업무개시명령을 안건으로 상정하고 논의한다. 시멘트 분야에 이어 업무개시명령이 추가되면 피해가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다.
한편 협회는 지난달 23일부터 ‘수출물류 비상대책반’ 운영을 개시했다. 화물연대 동향과 피해 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해 기업들의 애로사항을 접수해 정부에 전달하는 한편 12개 지역본부와 자체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수집해 대응하면서 수출입 피해 최소화에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