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이 간다' 현장시장실 1년 성과는?

by이승현 기자
2013.11.05 12:00:23

은평뉴타운 부터 마포구까지 23회 개최
박시장 시민소통 이미지 구축 긍정적
은평뉴타운 미분양 해결 등 성과 거둬
타지역 형평성·재정문제 등 한계 드러내기도

[이데일리 이승현 기자·유선준 기자]

▲박원순 서울시장이 지난 1일 마포구청에서 현장시장실을 열어 마포중앙도서관 건립 등 지역현안 해법에 대해 주민과 공무원들에게 설명하고 있다. (사진=서울시)
박원순 서울시장의 대표적인 시민소통 행정인 ‘현장시장실’이 1일 마포구를 끝으로 1년간의 여정을 마무리 지었다. 현장시장실은지난해 11월 은평뉴타운을 시작으로 20개 자치구와 3개 주제별(재정건전성·전통시장·택시)로 운영돼 시장이 지역주민 등 이해관계자들과 현안을 직접 논의하는 장을 제공했다.

현장시장실 운영에 따른 성과에 대해선 의견이 엇갈린다. 시장이 현장의 목소리를 직접 듣고 의견을 나눔으로서 시민들에게 신뢰감을 준 좋은 아이디어였다는 게 대체적인 평가다. 반면 소통에는 성공했지만 문제 해결에는 한계를 드러냈다는 지적도 나온다.

‘시장이 직접 주민을 찾아간다’는 참신한 시도로 박 시장은 탈권위적인 ‘듣는’ 시장이라는 이미지를 정착시켰다. 박 시장이 현장시장실을 통해 거둔 성과 중엔 은평뉴타운 미분양 물량 해결이 대표적이다. 박 시장은 지난해 11월 은평뉴타운 미분양 현장에 시장실을 차려 9일 동안 현장답사와 토론회, 주민과의 대화 등을 진행했다. 결과적으로 SH공사는 3개월만에 은평뉴타운 미분양 615가구를 모두 팔아치우는 성과를 거뒀다.

박 시장이 평소 강조하는 ‘우문현답’(우리의 문제는 현장에 답이 있다)이 빛을 발한 사례이자, 현장시장실 운영을 본격화하는 계기가 됐다. 3월 강서·양천 현장시장실에서의 ‘제물포터널 착공’과 4월 구로·금천에서의 ‘서부간선도로 지하화’ 결정 등도 지역현안을 현장시장실을 통해 해결한 사례다.



현장시장실은 지역 주민 민원과 숙원사업에 대한 의견을 청취하고 해결책 마련을 위해 추진됐지만 시의 어려운 재정상황과 다른 지역과의 형평성 문제 등으로 인한 한계를 드러냈다.

실제 많은 예산이 필요한 문화센터 등 편의시설 건립이나 용산구 화상경마장과 뉴타운 사업 등 이해관계가 첨예한 문제에 대해선 뾰족한 해결책이 내놓지 못했다. 일각에선 “시장이 주민 의견을 들어주는 것에 그칠 뿐 명쾌한 답은 주지 못했다”는 아쉬움을 드러내기도 했다. 현장에선 결정됐지만 정작 실행단계에서 추진 동력을 얻지 못해 지체되고 있는 사업들도 일부 있다.

현장시장실이 민주당 구청장이 있는 20개 자치구에서만 열린 것은 소통 활성화의 측면에서 아쉬운 대목이다. 새누리당 구청장이 있는 5개 자치구(강남·서초·송파·중랑·중구)에서는 결국 현장시장실 개최가 불발됐다. 이들 구는 겉으로는 일정상의 이유 등을 들었지만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시장에게 홍보 마당을 제공하지 않겠다는 정치적 의도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시 관계자는 “정치적 요인 때문에 행정을 통한 문제 해결이 가로막히는 것은 우리가 극복해야 할 과제”라며 “앞으로도 현장점검이 필요한 주제들에 대해선 비정기적으로 현장시장실을 개최해 운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원순 서울시장 현장시장실 일정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