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팜 추진 2년..시설 국산화 여전히 걸음마

by피용익 기자
2015.10.13 11:23:35

농식품부, 스마트팜 확산 대책 마련

[세종=이데일리 피용익 기자] 정부가 농업의 미래성장산업화를 위해 스마트팜 사업을 추진한 지 2년이 됐지만 농촌의 스마트팜 보급은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 특히 스마트팜 시설은 대부분 비싼 외국산이 차지하고 있어 농가의 스마트팜 도입을 더디게 만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농림축산식품부는 13일 ‘스마트팜 확산 대책’을 마련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2013년 11월 네덜란드를 방문한 직후 농업의 미래성장산업화를 위한 스마트팜 도입을 언급한 지 2년 만이다.

스마트팜은 정보통신기술(ICT)을 비닐하우스·축사·과수원 등에 접목해 원격·자동으로 작물과 가축의 생육환경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는 농장을 뜻한다. 박 대통령이 농업 강국인 네덜란드의 예를 들며 “농업은 95%가 과학”이라고 말한 이후 농식품부는 스마트팜 사업을 추진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한국형 스마트팜은 여전히 걸음마 단계에 있다. 온실 유형별 모델은 개발 단계에 있고, 품목별 최적 생육정보를 분석해 현장에 제공하는 최적생육관리 소프트웨어는 외국산에 의존하고 있다. 스마트팜 구성기기에 대한 표준화도 이뤄지지 않은 상태다. 센서·제어기 등 스마트팜 부품은 업체별로 규격이 다르고 호환성이 미흡해 운용과 유지보수가 어렵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에 농식품부는 스마트팜 온실 모델 개발에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수박 재배용 단동간편형 스마트 온실 모델은 지난 6월 개발이 완료돼 재배 농가를 중심으로 실증시험 중에 있다. 딸기·오이 등에 적합한 연동복합형은 하반기까지 개발을 마칠 계획이고, 토마토 등에 적합한 수출첨단형은 내년까지 개발을 완료하기로 했다.



또 내년 토마토를 시작으로 2017년에는 파프리카·국화·딸기 등 작물별 최적 생육관리 소프트웨어를 단계적으로 개발해 외국 소프트웨어에 대한 의존도를 대폭 낮춘다는 구상이다.

아울러 연말까지 표준규격을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에 단체표준으로 등록하고, 2017년부터는 스마트팜 구성기기에 대한 표준·규격 적합성을 검증하는 인증제도를 도입할 예정이다.

농식품부는 이를 위해 스마트팜 예산 지원을 늘리고, 지방자치단체·생산자단체 등과 협업을 강화하기로 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이번 대책을 통해 스마트팜의 신속한 현장 확산과 시장 확대를 통해 농업의 경쟁력 제고와 함께 ICT 연관 산업도 발전할 수 있는 선순환 생태계가 조성될 것”이라고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