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미국 등 긴축에도 외국인 자본유출 리스크 크지 않아"
by이윤화 기자
2021.12.23 11:00:00
한국은행, 하반기 금융안정보고서 발간
주식 자금 변동성 크지만 채권 순유입 지속
MSCI EM지수에 있어 신흥국 자본 유출에 동조화될 위험
[이데일리 이윤화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내년 세 차례 기준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주요국 중앙은행이 당초 예상보다 빠른 긴축 전환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주식, 채권시장에서 외국인 투자자금이 급격히 빠져나가는 자본 유출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23일 하반기 금융안정보고서를 통해 “주요국의 통화정책 정상화가 진행되더라도 우리나라의 기초경제 여건 및 외국인 투자자의 구성, 그리고 과거 미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 시기의 경험 등을 감안할 때 외국인 증권자금이 대규모 유출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밝혔다.
실제로 외국인의 국내 주식, 채권 투자를 합한 증권투자자금 흐름을 보면 코로나19 타격이 컸던 지난 1분기(-52억9000만달러)를 제외하고 그 이후부터 주로 채권시장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순유입세를 유지해왔다. 특히 올해부터는 채권 시장으로의 자금 유입이 많아지면서 연준의 테이퍼링 시작을 전후로 한 올해 10월, 11월 중에도 채권 자금이 48억3000만달러 순유입 되며 주식 자금 유출(-1억3000만달러)보다 많아 합산으로는 46억9000만달러 유입을 기록했다. 코로나19가 본격화한 지난해 3월 이후부터 올해 11월까지를 기준으로 놓고 보면 주식자금은 371억달러 순유출된 반면, 채권자금은 686억달러 순유입된 모습이다.
주식 자금은 국내주가 급등에 따른 주식 대량 매도 환경 조성, 글로벌 액티브 펀드자금 이탈, 반도체 업황 전망 악화 및 연기금의 포트폴리오 리밸런싱 등으로 큰 폭 순유출된 것이다. 반면 채권자금은 글로벌 초저금리하에서의 수익률 추구행태 강화, 우리나라의 양호한 기초경제여건, 상대적으로 높은 차익거래 유인 등으로 대규모로 순유입 흐름을 지속했다.
이는 채권 시장 투자 주체가 민간보다 정부 비중이 높아져 안정성이 확보된 측면이 크다. 채권자금은 장기투자자인 국외 중앙은행, 국부펀드, 국제금융기구 등 공공자금 비중이 더 높아졌다. 지난 2008년~2009년엔 상업은행, 투자회사 등 민간자금 비중이 90% 수준이었으나, 2016년 이후에는 중앙은행, 국부펀드 등 공공자금 비중이 70%까지 늘었다.
이 때문에 주식자금은 변동성이 이어지겠으나, 채권자금은 유입세 둔화 정도에 그칠 것으로 보고 있다. 높은 공공자금의 비중, 국내 금리 상승으로 인한 내외금리차 축소 제약 등으로 큰 폭의 순유출 가능성은 제한적일 전망이다.
다만, 한은은 우리나라 채권 투자자 중 중국 인민은행 등 신흥국 비중이 높기 때문에 이로 인한 위험은 경계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2013년 5월 연준의 갑작스런 테이퍼링 언급에 신흥국의 통화 가치와 증시가 급락하는 ‘테이퍼 텐트럼(긴축발작)’ 현상이 발생했던 것처럼 예상치 못한 변수가 생길 경우 신흥국 투자자가 자국 외환시장 안정의 차원에서 자금을 회수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모건스탠리캐피탈인터내셔널(MSCI) 지수 등은 우리나라를 아직은 신흥국으로 분류하고 있기 때문에 신흥국 전반의 자금 유출입 흐름과 동조화 현상이 강해진 점도 유의해야 할 지점이다. 지난 2008년 1월~올해 11월까지 우리나라와 신흥국간 주식자금 유출입의 상관계수는 0.75 수준으로 나타났다.
한은 관계자는 “연준의 경우에도 대차대조표상 자산을 줄어든 수준은 아니어서 아직까지는 외국인 자본유출 위험이 크지 않은 상황”이라면서도 “주요국 긴축이 예상보다 더욱 가속화할 경우를 대비, 외국인 투자자별 특성과 투자 유인에 대한 분석을 강화하고 신흥국을 통해 가져올 파급효과에도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