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코로나 전망 수정…재유행 정점 8월 최대 28만명”

by이지현 기자
2022.07.20 11:01:48



[이데일리 이지현 기자] “코로나19 재유행 정점은 8월 중으로 예측되며 일 확진자 수는 최대 28만명 수준 예측된다.”

이기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총괄조정관(보건복지부 제2차관)이 20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30만명 발생대비 의료대응 추가대책을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지난 13일 정부는 9월 말 최대 18만5000만명의 정점을 이룰 거라는 코로나19 유행 전망을 반영해 일 확진자 20만명 대응을 위한 ‘코로나19 재유행 대비 의료대응방안’을 발표했다. 하지만 돌파감염과 전파력이 높은 BA.5 검출률이 지난주 52%를 넘어서는 등 사실상 우세종화 하자 추가 확산이 불가피하다고 보고 정부는 유행 전망을 수정했다.

최근 3주 연속 확진자는 2배씩 늘어나는 ‘더블링’ 추이를 보이고 있다. 6월29일 1만455명→7월9일 2만273명→13일 4만252명→20일 7만6402명 등이다. 이에 질병관리청은 8월 중에서 말 사이에 최대 27만7000명이 신규 확진되는 등 유행이 정점을 찍을 것으로 수정 전망을 내놨다. 위중증 규모는 최대 2000명으로 예측됐다.



이같은 상황에 병상 가동률도 증가하고 있다. 지난 13일 15.8%에 불과했던 것이 이날 25.5%까지 늘었다. 정부는 하루 확진자 14만6000명까지 대응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이기일 1총괄조정관은 “30만명 이상 발생에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선제적 의료역량 확보 등 추가대책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우선 원스톱진료기관을 현재 6500여개에서 이달 중 1만여개로 확대 지정한다. 패스트트랙 적용대상을 기존 60세 이상 어르신, 면역저하자, 요양병원·시설 입소자에서 기저질환자와 정신병원 및 장애인시설 입소자까지 확대한다.

치료제를 올해 하반기 34만명분, 내년 상반기 60만명분 등 총 94만명분을 추가로 도입한다. 수도권 지역에 55개, 비수도권 지역에 15개의 임시선별검사소를 추가로 설치·운영한다. 주말 검사도 확대한다. 오는 9월 30일까지 진단키트 판매업 신고를 한시 면제해 모든 편의점에서 진단키트 판매를 허용토록 할 방침이다.

하루 확진자 30만명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약 4000여개의 병상을 추가로 확보할 계획이다. 그 일환으로 이날 선제적으로 1435개 병상에 대해서 행정명령을 발동하기로 했다.

요양병원·시설, 정신병원·시설 등의 관리를 보다 강화하기로 했다. 해당 시설의 모든 종사자를 대상으로 주 1회 PCR 검사를 실시하고 그간 대면 면회를 허용했던 것을 비대면 면회만 허용해 외부 감염요인을 차단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