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2년 외교문서 공개…모가디슈 탈출·북핵 IAEA 시찰 등 눈길

by권오석 기자
2023.04.06 10:44:17

생산 후 30년 경과한 외교문서 총 2361권 분량 국민 공개
북한·IAEA 간 핵시설 사찰 문제 등 포함
영화 ‘모가디슈’로 유명해진 ‘소말리아 남북 공관원 탈출’ 기록도

[이데일리 권오석 기자] 한중 간 국교를 수립하고 북한 핵 문제가 국제사회 이슈로 떠오르기 시작한 1992년 당시 외교문서들이 6일 공개됐다. 외교부는 “생산 후 30년이 경과 한 1992년도 문서 등 외교문서 총 2361권(36만여 쪽)을 국민에게 공개한다”고 이날 밝혔다.

이번에 공개되는 문서에는 △노태우 대통령의 미국 및 유엔, 중국, 일본 방문 △부시 미국 대통령·옐친 러시아 대통령·미야자와 일본 총리 및 찰스 영국 왕세자 방한, △중국·베트남·앙골라·탄자니아 등과의 국교수립 △북한·국제원자력기구(IAEA) 간의 핵안전조치협정 체결 및 핵시설 사찰 문제 등이 포함돼 있다.



먼저, IAEA의 북한 핵시설 사찰과 관련해선, 당시 평안북도 영변 핵시설에서 건설 중이던 방사화학실험실(RCL)이 핵 재처리 시설로 판명됐으며 북한이 이 시기에 소량의 플루토늄을 추출하는 데 성공했다는 등 사실들이 외교문서를 통해 확인됐다. 북한은 핵확산금지조약(NPT) 가입 후 6년 만인 1992년 1월 IAEA 핵안전조치협정에 서명하고 핵 사찰을 받아들였다. 다만 문서에는 북미 간 오간 대화와 IAEA의 대북 핵시설 사찰 관련 내용이 상당 부분 비공개 처리돼 구체적인 상황을 파악할 수는 없다.

지난 2021년 영화 ‘모가디슈’로 유명해진 1991년 ‘소말리아 남북 공관원 탈출’ 외교전문도 주목을 받는다. 소말리아 내전 당시 남북한 대사관원들이 함께 목숨을 걸고 현지에서 탈출한 과정이 담겼다. 탈출 과정 당시 북측의 한상렬 운전기사가 죽는 순간까지 운전대를 놓지 않는 초인적 의지력을 발휘했으며, 북측의 이창일 서기관은 탈출 내내 태극기를 흔들었다는 내용이 실렸다.

한편 공개된 외교문서 원문은 서초동 외교사료관 내 `외교문서 열람실`에서 이용할 수 있으며, 외교문서철 목록 및 수록 내용은 주요 도서관과 정부 부처 자료실 등에 배포된 `외교문서 공개목록`, `대한민국 외교문서 요약집`(구 외교사료해제집)과 외교사료관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외교부는 1994년부터 총 30차에 걸쳐 3만 5100여 권(500만여 쪽)의 외교문서를 공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