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용 드론 시장 집중 육성…스마트공항 위해 4천억 투입

by조용석 기자
2017.12.28 10:00:00

사업용 드론 집중육성…‘마중물’ 초기시장 창출
5년 뒤 출국 수속시간 17%↓…스마트공항 구축
특허청, 생애 단계별 맞춤형 발명교육 활성화

[이데일리 조용석 기자] 정부가 절대강자가 없는 사업용 드론 세계시장 선점을 위해 집중 지원에 나선다. 또 4차 산업혁명의 주요기술을 접목한 스마트공항을 구축하기 위해 40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대통령 직속 4차 산업혁명위원회는 28일 서울 광화문 KT빌딩에서 3차 회의를 열고 드론 사업기반 구축, 스마트공항 종합계획, 발명교육확산 방안 등과 관련된 안건을 논의했다.

국토부·산업부·과기정통부는 신성장 동력으로 꼽히는 드론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산업생태계 조성 △기술개발 △시장창출 지원 △글로벌 수준 인프라 구축 등을 추진키로 합의했다.

정부가 집중하는 부분은 급성장이 예상되나 절대강자가 없는 사업용(공공상업용) 드론 세계시장이다. 개인·레저용 드론시장은 중국이 절대 우위를 점하고 있으나 사업용 드론시장은 초기라 두각을 드러내는 국가는 없다.

관계부처는 사업용 드론시장 성장을 위해서는 ‘마중물’이 될 초기시장 창출이 중요하다고 보고 향후 5년간 공공분야에서 약 3700대(3500억원 규모)의 드론 수요 발굴할 계획이다.

또 상용화 지원, 투자유치, 인력지원, 금융 등을 패키지 형태로 지원하고 우수인력을 끌어들일 수 있는 조종 전문교육기관을 지속적으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석박사급 R&D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해 내년에는 올해(15억원)보다 2배가 넘는 37억원을 지원한다.

정부는 드론의 GPS(위성위치확인시스템) 오차 3m 이내의 정밀비행을 위해 초정밀 보정시스템(SBAS)을 2022년까지 구축하는 한편 장시간 비행, 안정성 등 드론 핵심기술 개발에도 주력할 계획이다. 현 7위권에서 5대 기술 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목표다.



국토부는 4차 산업혁명의 주요기술을 접목, 편리하고 빠른 스마트공항 만들기에 나선다. 정부는 이를 통해 공항을 확충하지 않고도 5년 뒤인 2022년에는 출국 수속시간을 현재보다 17%포인트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먼저 탑승수속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탑승수속·보안검색 과정을 첨단화한다. 첨단화의 일환으로 내년 1월부터 김포·제주 공항에서는 지문으로 신분증을 대체하는 생체인식 기반 탑승 수속이 시행된다. 또 빅데이터를 활용해 여객 흐름을 미리 예측, 효율적으로 공항 이용객을 분산시킨다는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현재 인천공항(T1) 출국 수속시간이 평균 45분인데 2022년까지 36분 정도로 단축시킨다는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스마트공항 구축될 경우 출국시간 감소 뿐 아니라 공항확충비용이 연간 2000억원이 절감되고 6320명의 신규일자리도 생길 것으로 내다봤다. 투입되는 예산은 약 4000억원 수준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계획을 토대로 스마트공항 추진을 위한 세부과제들을 이행할 것”이라며 “한국형 스마트 공항의 해외진출까지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특허청은 생애 단계별 맞춤형 발명교육을 활성화해 4차 산업혁명 시대 인재의 핵심역량인 창의성·도전정신·융합능력 등의 성장을 돕는다. 초중고 학생의 발명체험교육을 확산하고 대학(원)생이 창의적인 연구·창업 인력으로 성장토록 지식재산 교육도 강화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