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기술25] 삼성SDS, 수출통관에 블록체인 도입..KT, 블록체인 기반 지역화폐 발행
by김유성 기자
2018.09.20 09:22:08
[이데일리 김유성 기자] 국내 블록체인 시장 선점을 위해 국내 기업들도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대기업들은 블록체인이 갖고 있는 무결성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블록체인이 위변조가 어렵다는 특성을 이용해 기업 간 거래, 계약 등에 응용하는 것입니다.
스타트업은 블록체인과 보상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암호화폐를 발행하고 이를 갖고 자신들의 서비스를 판매하려고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신들만의 암호화폐를 투자자한테 파는 코인공개(ICO)에 관심도 높습니다. 쉽고 간편하게 투자금을 모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블록체인 시장도 커지고 있습니다.
한국과학기술정보원에 따르면 국내 블록체인 시장은 올해 524억원 정도입니다. 2022년에 이 시장은 3562억원을 넘을 것으로 보입니다. 카카오와 네이버 등 대형 포털·커뮤니케이션 기업이 블록체인 사업을 본격화하면 국내 시장은 더 커질 전망입니다.
SI(System Integrity) 대표 주자 삼성SDS는 지난 2015년부터 블록체인 전담 조직을 신설했습니다. 삼성SDS는 블록체인 계약의 무결성과 위변조 방지 특성을 활용한 스마트 계약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최근 삼성SDS는 자사 블록체인 기술을 관세청 수출 통관 기술에 적용키로 했습니다. 관세청과 협약을 맺고 종이로 처리되던 수출 통관 물류 시스템을 블록체인으로 처리하기로 한 것이지요. 기업 간 거래에 필요한 신뢰를 블록체인을 통해 확보하려는 의도입니다.
LG CNS도 블록체인 사업을 준비 중입니다. LG CNS는 지난 5월 블록체인 플랫폼 ‘모나체인’을 출시한 바 있는데요, 디지털로 거래를 인증하는 등 블록체인이 갖고 있는 ‘스마트 계약’ 기능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KT의 블록체인 사업은 보다 실체가 있습니다. 경기도 김포 지역에서 유통되는 지역 상품권이 갖고 있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사업입니다. KT는 자사 디지털화폐 계열사 KT엠하우스와 함께 김포시와 지역화폐 플랫폼을 올해말까지 구축할 계획입니다. 종이 기반 상품권은 불법으로 현금화되는 등 신뢰성에 문제가 있었습니다. 블록체인으로 이를 극복하기 위한 목적입니다.
이외에도 공인인증서를 대체하기 위한 노력, 아프리카나 아시아 등 저개발국가에서 핀테크 사업을 하는 기업들도 있습니다. 블록체인이 갖고 있는 신뢰성에 기반한 사업들입니다.
대기업보다 자본이 부족한 스타트업은 ‘코인이코노미’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자신들의 블록체인 시스템을 개방하고, 사람들이 와서 이용하게 만드는 방식입니다.
사용자들은 스타트업이 만든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코인으로 보상을 받습니다. 스타트업은 자신들이 발행한 코인을 판매해 수익을 얻고 다시 서비스에 투자합니다. 블록체인에 기반한 선순환 사업 구조입니다.
개중에는 실제 ICO 후 사업을 하고 있는 스타트업도 있습니다. 승차공유 스타트업 앰블바운데이션이 대표적입니다.
앰블파운데이션은 싱가포르에서 승차공유 사업 시작한지 한 달만에 이용자 5만명, 기사 회원 1만2000명을 모았다. 우버나 리프트, 그랩과 달리 기사에게 수수료를 받지 않는 시스템으로 싱가포르 승차공유 시장에 안착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국내 대표적인 플랫폼 업체 카카오도 그라운드X라는 블록체인 전문 자회사를 만들었습니다. 그라운드X도 ICO를 염두하고 자신들만의 서비스 생태계 구현을 계획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