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통사들 "영업정지 겸허히 수용"...'기간 너무 길다' 불만도

by이승현 기자
2014.03.07 13:19:48

이통사들 "영업이익 늘겠지만 매출 줄어들 것...장기적으로 타격 불가피"
보조금 경쟁 촉발자 단독처벌에 대해선 온도차 엿보여

[이데일리 이승현 기자] SK텔레콤(017670)과 KT(030200), LG유플러스(032640) 등 이동통신사들은 정부의 45일간 사업정지 명령에 대해 겸허히 수용한다고 7일 일제히 밝혔다. 반면 보조금 경쟁 촉발자에 대한 단독처벌 방안 등에 대해선 이통사들마마 의견 차가 엿보였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정부 결정을 겸허히 수용한다”며 “시장 안정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KT 역시 “이번 제재조치를 충실히 이행해 이통시장 안정화와 고객신뢰 회복에 매진하겠다”고 밝혔고, LG유플 측도 겸허히 수용한다고 했다.

이통사들은 보조금 경쟁이 없어진 만큼 오히려 영업이익 증가 등 경영개선 실적이 이뤄질 거라는 의견에 대해 장기적으로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LG유플 관계자는 “올해가 시작되는 1분기에 영업을 열심히 해야하는데 가장 중요한 시점에 영업정지를 당했다”고 말했다. SK텔레콤 관계자도 “영업이익이 좀 늘 수는 있지만 매출에는 분명히 부정적 영향을 끼친다”고 말했다. 이통사들은 이번 영업정치 조치에 수긍하지만 기간이 너무 길다는 불만 또한 갖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통사간 향후 보조금 경쟁의 재발방지를 위해 초기 촉발자에 대한 단독처벌 방안에 대해선 업체들마다 온도차가 느껴졌다. 이번처럼 3개 유통사를 동일하게 처벌하는 대신 보조금 경쟁 초기 주도 사업자를 앞으로 불법적인 보조금 살포 행위를 근절하자는 것이다.



KT 측은 “시장혼탁 주도 사업자에 대해 단독으로 강력한 패널티를 부여해야 한다”고 강조했지만 SK텔레콤과 LT유플은 이 방안에 대해 긍정적 입장을 표하지는 않았다. 초기 주도자를 정확히 판별해내기가 쉽지않다는 이유 등이 거론됐다.

LG유플은 이와 별개로 “기기변경을 악용한 우회영업과 계열 알뜰폰 사업자를 통한 우회모집, 자사 가입자 모집을 위한 부당지원 등에 대해 정부의 모니터링이 철저히 이뤄져야 하다”고 촉구했다.

다만 보조금의 투명한 공개를 골자로 한 단말기 유통구조 개선법 시행에 대해선 모두 동의했다. SK텔레콤 관계자는 “단말기 유통법은 보조금 정책의 ‘룰’(법칙)이기 때문에 도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KT 관계자도 “제도적인 해결책 마련이 조속히 시행되길 희망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