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달 연속 6%대 '고물가'…정부 "어려운 여건 속 일부 긍정 신호"(종합)
by공지유 기자
2022.08.02 10:36:13
7월 소비자물가 6.3%↑…외환위기 이후 최대폭
개인서비스·석유류 다 상승…채소류 가격도 급등
국제유가 하락 등 일부 긍정요인…"7%대 가능성 안 커"
[세종=이데일리 공지유 기자]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외환위기 이후 24년 만에 두 달 연속 6%대를 기록하고 있다. 국제유가와 원자재 가격 상승 영향이 지속한 가운데 전기요금과 농축수산물 물가도 오름세가 확대됐다. 다만 최근 국제유가가 하락하는 등 대외 불안요인이 완화되는 모습을 보이면서 7%대 물가상승률이 나타날 가능성은 크지 않을 거라는 전망이 나온다.
| 지난달 20일 서울 시내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
2일 통계청이 발표한 7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8.74(2020=100)로 전년동월대비 6.3% 상승했다. 이는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 11월(6.8%) 이후 23년 8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폭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0월 3%대로 올라선 뒤 2월까지 3%대를 유지하다가 지난 3월 4.1%를 기록했다. 5월에는 5%대로 올라선 이후 지난달(6.0%)부터 두 달째 6%대를 기록하고 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두 달 연속 6%대를 기록한 건 1998년 10월(7.2%), 11월 이후 23년 8개월 만이다.
지난달에는 석유류 등 공업제품과 개인 서비스가 물가 상승을 주도했다. 공업제품과 개인서비스 물가상승률 기여도는 각각 3.11%포인트, 1.85%포인트로 전체 물가상승률 6.3%에서 4.96%포인트를 차지했다.
상품별로 보면 석유류가 전년동월대비 35.1%, 가공식품이 8.2% 올라 공업제품이 8.9% 뛰었다. 석유류는 경유가 같은 기간 47.0%, 휘발유가 25.5%, 등유가 80.0% 올랐다. 다만 국제유가 급등세가 다소 완화하며 전월대비 석유류 물가는 0.1% 하락했다.
농축수산물은 농산물이 8.5%, 축산물이 6.5% 상승하면서 7.1% 올랐다. 유류비와 비료비 등 생산비가 상승한 가운데 잦은 강수 등으로 채소류가 25.9% 상승했다. 이는 2020년 9월(31.8%) 이후 최대폭 상승이다. 배추는 72.7% 올랐고 오이 73.0%, 상추 63.1% 등 가격이 전부 높게 뛰었다.
다만 축산물의 경우 정부의 민생안정대책 등 영향으로 전월대비로는 2.4% 내리면서 하락 전환했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돼지고기 가격이 많이 올랐던 기저효과도 있었을 것이고, 할당관세 적용품목을 확대하는 과정에서 정책효과도 있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전기요금 상승 영향으로 전기·가스·수도 물가도 1년 전보다 15.7% 올랐다. 이는 2010년 1월 관련품목 조사가 시작된 이후로 최대 상승폭이다.
서비스 물가는 개인서비스가 6.0%, 공공서비스가 0.8%, 집세가 1.9% 오르면서 전체적으로 4.0% 상승했다. 개인서비스 가격은 1998년 4월(6.6%) 이후 가장 크게 상승했다. 국제 곡물가격 상승과 농축산물 가격 상승 누적에 따른 재료비 인상 등 공급 요인을 중심으로 감염위험 축소에 따른 외부활동 증가 등 수요측 요인까지 더해진 영향으로 통계청은 분석했다.
최근 물가 오름세가 국제유가 상승세 등 대외적 요인에 기인하는 가운데 대외 불안요인 완화 조짐이 보이면서 8월에는 오름세가 크게 확대되지는 않을 거라는 전망이 나온다. 글로벌 경기둔화 가능성이 확대되면서 원유 수요 감소로 국제 원유 가격이 하락하며 석유류의 물가 기여도는 6월 1.74%포인트에서 지난달 1.59%포인트로 하락했다.
어 심의관은 “물가 상승세를 주도하는 국제유가 (상승세가) 둔화하고 곡물가격과 원자재 가격 등 대외적 불안요인이 완화 조짐을 보이고 있다는 게 긍정 요인”이라면서 “추석명절을 앞두고 기상여건이 악화해 농축산물 가격이 불안한 모습을 보이지 않는다는 전제로 오름세가 그렇게 확대되지는 않을 거라고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어 심의관은 “물가 상승속도가 둔화되는 흐름이 지속된다면 7%대 상승률이 나타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했다. 연간 물가상승률 전망에 대해서는 “5%대는 넘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부는 그동안 총 8차례에 걸쳐 발표한 민생·물가안정대책 조치를 시행하면서 추가적 민생안정 방안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앞서 정부는 단순가공식품 부가가치세 한시 면제, 유류세 법정한도 최고폭 인하, 수입 돼지고기 등 할당관세 면제와 같은 대책을 발표한 바 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올해 들어 어려운 물가여건이 지속되고 있지만 최근 긍정적 신호들이 일부 관찰되고 있다”면서 “농축수산물 등 생활물가 안정화와 민생여건 개선을 위해 8월 추석 민생안정대책 등 추가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