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자 평균 월급 264만원..`슈퍼리치` 포함 상위 1%는 1835만원"

by박지혜 기자
2015.09.07 11:02:34

[이데일리 e뉴스 박지혜 기자] 우리나라 근로자의 작년 평균 연봉이 3172만원, 월급으로 보면 264만원으로 나타났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윤호중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7일 한국납세자연맹과 함께 근로소득자 1618만7647명의 지난해 연말정산 자료를 분석해 이같이 밝혔다.

국세청이 윤 의원에게 제출한 이번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전체 근로소득자의 평균 소득은 3172만4658원으로, 월평균 264만원 정도다.

소득 상위 1% 계층의 연봉은 평균치의 약 7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7만8830명인 상위 1% 근로소득자의 평균 연봉은 2억2020만원으로 월급으로 보면 1835만원에 달했다.

상위 1% 계층에서 연봉이 가장 적은 사람도 매월 1125만원의 소득이 있었다.



또 상위 0.1%의 평균 연봉은 3억5000만원이고, 연봉이 10억원을 넘는 상위 0.01%는 1868명으로 조사됐다. 연봉 6700만원 이상이 상위 10%에 포함됐고, 연봉 8천500만원 이상이 상위 5%에 해당했다.

반면, 전체 평균에 미치지 못하는 연봉을 받는 근로자는 1022만5454명으로 집계됐다. 전체 근로자의 약 63%가 평균 이하인 셈이다.

윤 의원은 “평균 소득 산출에 연봉이 100억을 넘는 슈퍼리치까지 포함된 만큼 일반 국민의 평균 연봉은 3172만원(월 264만원)보다 적은 것으로 봐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이 같은 ‘소득 양극화’를 해소하기 위해 소득세 체계를 개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행 소득세법의 과표구간과 세율은 △1200만원 이하 6% △1200만∼4600만원 15% △4600만∼8800만원 24% △8800만∼1억5000만원 35% △1억5000만원 초과 38%다.

윤 의원은 “평균 연봉에도 미치지 못하는 월급으로 생활하는 근로자가 1000만명을 넘는다”며 “소득세율 최고구간을 세분화하고, 현행 38%인 최고세율도 끌어올려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