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코플라스마폐렴 항생제 내성…치료 가능”

by이지현 기자
2023.12.08 11:35:43

중수분 정례브리핑 통해 안정적 관리 상황 설명
2명 중 1명 1차 항생제 내성…2차 항생제 사용 가능
2019년 유행 상황과 다르지 않아 충분히 치료 가능

[이데일리 이지현 기자] “마이코플라스마폐렴은 새롭게 유입된 병이 아니다. 굉장히 공포를 느낄 필요는 없다.”

김예진 소아감염학회 부회장(삼성서울병원 교수)은 8일 코로나19 중앙사고수습본부 정례브리핑에 참석해 이같이 밝혔다.

정통령 중앙방역대책본부 상황총괄단장이 브리핑하고 있다.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은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Mycoplasma pneumoniae)에 의한 급성 호흡기 감염증이다. 현재 국내에서는 제4급 법정감염병으로 관리 중이다. 김예진 교수는 “마이코플라스마균이 발견된 것은1940년대”라며 “그 전에도 이미 폐렴이나 감기 증상들을 일으켜서 의심했던 균이다. 그 이후로 전 세계의 많은 어린이들한테서 아주 경하게는 감기 정도의 증상에서부터 아주 일부 아이들한테서는 폐렴의 증상까지도 유발할 수 있는 그런 균으로 알려져 있다”고 소개했다.

마이코플라스마폐렴은 연중 발생하지만 주로 늦가을에서 초봄에 유행한다. 국내에서는 2015년 1만2358명의 입원환자가 발생한 이후 2019년에 1만3479명의 환자 기록이 있다. 이 때문에 4년을 주기로 유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증상은 감염 초기 발열, 두통, 인후통을 동반해 일반적인 감기 증상과 비슷해 자연회복한다. 하지만, 일부 인플루엔자 및 다른 호흡기 감염증과 중복 감염 발생 시 환자의 3~13%는 중증으로 진행해 폐렴 등을 유발할 수 있다. .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입원환자는 11월 4째주(47주) 270명이다. 11월 첫 주 173명이었던 것이 매주 226명(2주), 232명(3주) 등으로 느는 등 최근 4주간 1.6배 증가했다.



김예진 교수는 “대부분 경하게 치료가 잘 되어서 모르고 지나가는 경우도 있을 수 있고 일부 경우에 항생제 치료가 필요하다”며 “항생제 치료도 외래에서 하거나 좀 더 심한 경우에 입원해서 할 수는 있다. 대부분 잘 치료가 되어서 퇴원도 무리 없이 할 수가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의 항생제 내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김 교수는 “항생제도 치료가 잘 되고 있는 편이 많지만 혹시라도 내성이 있다 하더라도 그다음에 2차 약제도 있기 때문에 그런 경우에 별 우려를 하지 않아도 될 것”이라고 말했다.

양현종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 총무이사(순천향대서울병원 교수 )도 “항생제 내성의 정의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외래에서 쓰게 되는 1차 약제에 대한 내성을 뜻한다”며 “2차 약제에 대한 내성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고 지적했다.

현재 2명 중 1명이 1차 약제에 내성률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양현종 교수는 “2019년과 비슷한 양상”이라며 “당시에도 논란이 되지 않고 보건시스템에서 잘 치료가 됐다. 지금도 그때와 달라진 상황이 크게 없고 약제도 비슷하다. 너무 걱정 안 해도 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