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뚝 CO₂를 잡아라..정부 5년간 1천억 투자
by안승찬 기자
2009.10.13 11:17:43
[이데일리 안승찬기자] 정부가 공장이나 발전소의 굴뚝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저장하는 기술 개발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정부는 `CCS(Carbon Capture & Storage)`라는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기술 개발에 향후 5년간 1000억원을 투자한다.
김정관 지식경제부 에너지자원실장은 13일 영국 런던에서 개최된 제3차 이산화탄소처리리더십포럼(CSLF) 각료회의에 참석해 한국 정부의 CCS기술 개발 로드맵을 발표했다.
정부의 CCS기술 개발 투자를 연간 145억원 수준에서 앞으로 5년간 1000억원 수준으로 늘리겠다는 것이다. 또 한국전력과 5개 발전자회사들도 2020년까지 이 분야에 1조3000억원을 투자한다.
2014년까지는 10MW급 포집 실증 지원을 통해 필요 기술을 확보하고, 2015년부터 기업 컨소시엄 주도로 500MW급 대규모 실증 프로젝트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CCS`는 발전소나 철강, 시멘트, 정유 등 산업공정에서 발생된 대규모 이산화탄소를 90% 이상 포집해 압축하고, 이를 저장하는 기술이다.
전세계 화석에너지의 수요 증가 추세를 감안하면 관련 시장은 상당할 것으로 전망된다. 아직까지 전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38%가 석탄 화력발전소에서 배출되고 있다.
특히 향후에는 CCS 기술 없이는 신규 화력 발전 시장 진입이 어려울 것이라는 게 일반적 관측이다. 실제로 국제에너지기구(IEA)와 CSLF는 지난해 G8 정상회의에서 신규 화력발전소에 CCS 적용을 권고한 바 있다.
이같은 추세를 반영해 해외 주요국들도 CCS 기술개발에 한창이다. 세계 최대 석탄 수출국인 호주는 지난 4월 `국제CCS연구소(GCCSI)`를 설립하고 매년 1000억원 규모의 정부예산을 쏟아붓고 있다.
미국도 지난 6월 국립탄소포집센터를 설립하고 1500억원 투자했고, 유럽연합은 2020년 CCS 상용화, 화력발전소 이산화탄소 배출량 `0`을 목표로 2015년까지 10~12개의 대규모 실증사업에 120억유로 지원할 계획이다.
김 실장은 "IEA는 오는 2050년에는 CCS가 단일기술로는 최대 규모인 이산화탄소 감축량의 19%를 담당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국내 기업이 일부 우수한 포집기술을 확보하고 있지만 국제 수준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자원을 더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초기에는 정부 지원을 통해 기업의 투자 리스크를 낮추고, 상용화 실증 단계에서는 기업 주도로 추진함으로써 정부와 민간이 협력하여 CCS 상용화를 적극 추진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