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ESG 리스크, 유럽 낮고 한국 높아…대응 프로세스 필요"

by신중섭 기자
2021.08.22 17:04:42

전경련, 세계 3456개사 분석결과 바탕 보고서 발표
탄소배출 높은 금속·철강·오일 등 업종 리스크 커

[이데일리 신중섭 기자] 한국과 중국·홍콩, 인도, 캐나다 기업의 환경·사회·지배구조(ESG) 리스크가 크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ESG 리스크가 낮은 나라는 프랑스, 영국 등 유럽국가들로 EU가 ESG 드라이브를 거는 자신감의 배경이라는 주장이다.

(사진=전경련)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세계적인 ESG 평가기관인 서스테이널리틱스 사이트에 공개된 전세계 3456개 기업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작성한 ‘글로벌 기업 ESG 리스크 MAP’ 보고서를 22일 발표했다.

보고서는 기업이 관리할 수 없는(unmanaged) ESG 리스크가 기업의 재무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로 환산했다. 10점 이하는 리스크가 ‘극히 낮음’, 10~20점은 ‘낮음’, 20~30점은 ‘중간’, 30~40점은 ‘높음’, 40점 이상은 ‘심각’을 의미한다.

전세계 주요 증권거래소별로 상장기업들의 ESG 리스크 점수(평균)가 높은 시장은 △상하이증권거래소 36.1 △선전 32.9 △홍콩 30.5 △한국거래소 30.1 순으로 모두 ‘리스크 높음(HIGH)’ 등급에 해당했다.

반면 낮은 거래소는 △파리증권거래소 20.6 △런던 21.6 △나스닥 22.1 △대만 22.4 △프랑크푸르트 22.5 순이었다. 전경련은 “국가별로 서비스업, 제조업 비중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서비스 업종의 경우 평균 리스크 점수가 낮았으며 금속·철강 등 제조업은 상대적으로 높았다.



업종별 분석결과 ESG 리스크가 높은 업종은 △금속 △철강 △비철금속 △오일가스 △우주항공·방산 순이었다. 반면 리스크가 낮은 업종은 △섬유·의류 △운송인프라 △미디어 △포장 △소매업 순이었다.

한국기업 중 ESG 리스크가 낮은 기업은 △삼성전기(15.0)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15.4) △현대모비스(16.0) △CJ대한통운(16.1) △엔씨소프트(16.8) △한온시스템(17.1) △현대글로비스(17.3) △CJ ENM(17.6) △네이버(17.7) △휠라홀딩스(17.7) △LG전자(17.9) △코웨이(18.0) △셀트리온헬스케어(18.0) △펄어비스(18.2) △넷마블(18.7) 등이었다.

업종별 1위 기업으로는 △섬유·의류 분야 에르메스 인터내셔널(10.1, 프랑스) △미디어 리드 엘제비어RELX(5.4, 영국) △내구소비재는 툴레(7.5, 스웨덴) △반도체 ASML(11.8, 네덜란드) △전자기기 시그니파이(다국적 조명회사 Signify NV, 13.1, 네덜란드) △가정용품 헨켈(가정용 칼·세제 등, 12.5, 독일) 등이 꼽혔다.

하위 기업 5곳은 △중국북방희토하이테크(중국) △도쿄전력(일본) △내몽고포두철강연합(중국) △Zijin 마이닝 그룹(중국)이었다. 분석대상 기업 전체에서 하위 20개사는 중국 14개, 캐나다 2개, 일본·멕시코·호주·미국 각 1개였다. 이들 기업은 공통적으로 최근 3년 내 부정적 사회적 사건·사고으로 콘트로버시 ‘5등급’을 받았다. 올해 초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에 보관 중인 오염수의 해양 방출을 결정한 도쿄전력이 대표적이다.

전경련 관계자는 “이번 조사결과를 볼 때 앞으로 ESG 규제강화와 확산에 대한 EU의 드라이브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하면서 “ESG경영은 결국 전사적 리스크 관리이며 기업들이 업종별 중 ESG 리스크 이슈를 사전에 정형화해 발생확률을 낮추고, 리스크 발생 시 즉각 대응할 수 있는 프로세스나 거버넌스 요소를 갖춰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