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일화의 표준 'DJP연대'…역대 대선 사례는?

by송주오 기자
2022.02.13 17:26:16

97년 대선 때 'DJP 연합'…실세형 국무총리 등 공동정부
노무현·정몽준 단일화, 역대 가장 극적인 단일화
문재인·안철수, 2012년 실패한 단일화로 꼽혀

[이데일리 송주오 기자]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가 13일 전격적으로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에게 야권 단일화를 공식 제안하면서 역대 단일화 사례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이번 단일화도 과거 사례를 참고해 준용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윤석열(왼쪽)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가 11일 오후 서울 중구 매경미디어센터에서 열린 한국기자협회 주최 방송 6개사 공동 주관 2022 대선후보 초청 토론회 시작에 앞서 인사하고 있다. (사진=국회사진기자단)
1988년 민주화 이후 역대 대선에서 단일화가 가장 먼저 성사된 사례는 1997년 대선에서의 ‘DJP연대’다. 당시 김대중 국민회의 총재와 김종필 자민련 총재는 김대중 후보로 단일화를 하기로 합의했다. 대신 상당한 지분을 받았다. 김종필 총재는 국무총리와 경제부처 장관 지명권, 내각제 추진 등을 약속받았다. 이 연대로 김대중 후보는 이회창 한나라당 후보를 1.5%포인트 차이로 누르고 대통령에 당선됐다. 국민회의와 자민련은 2001년 8월 임동원 통일부장관 해임건의안 가결 전까지 공동정부를 구성했다.

가장 극적인 단일화로 꼽히는 선거는 2002년 대선에서의 노무현 새천년민주당 후보와 정몽준 국민통합21 후보 간 단일화다. 두 후보는 이회창 한나라당 후보에 밀려 있었다. 이에 노 후보와 정 후보는 줄다리기 협상 끝에 후보 등록 전 여론조사를 통해 단일화하기로 합의했다. 그 결과 노 후보가 앞서면서 단일 후보로 선출됐다. 이후 정 후보는 노 후보를 위해 지지 유세를 다니기도 했지만 선거 전날 저녁 지지를 철회했다. 노 후보는 지지철회에도 이 후보를 2.3%포인트 차로 제쳤다.



단일화가 승리로 이어지는 보증수표는 아니다. 대표적인 사례가 2012년 대선이다. 당시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와 안철수 무소속 후보는 후보등록 직전까지 단일화 협상을 벌였다. 안 후보는 후보 등록 직전인 그해 11월 23일 문 후보 지지를 선언하면서 후보에서 사퇴했다. 문 후보는 이 선거에서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에게 3.5%포인트 차로 패했다. 안 후보의 중도사퇴 형식으로 문 후보의 단일화가 이뤄지면서 효과도 반감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진보진영의 전유물이었던 후보 단일화는 2017년 대선을 계기로 보수진영에서도 논의에 나섰다. 정치구도의 변형으로 보수진영이 불리해지면서 단일화 필요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이에 2017년 19대 대선에서는 자유한국당 홍준표,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 간 단일화 가능성이 제기됐지만 성사되지 않았다.

이번 대선에서는 윤 후보와 안 후보가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고, 보수진영에서 단일화 요구가 높은 만큼 성사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