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글와글 클릭]북한군 `얼룩무늬 군복` 착용 `기습 남침?..작업복?`

by편집기획부 기자
2010.12.28 13:24:23

▲ 신형전투복 착용한 특전사 (출처: 방위사업청)

 
[이데일리 김민화 리포터] 군 당국이 최근 북한군의 전방사단 병력 중 일부가 국군과 같은 얼룩무늬 군복을 착용한 것을 식별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군의 한 소식통은 28일 "북한군 전방사단의 병력이 얼룩무늬 군복을 착용하고 있는 것이 올해 처음으로 식별됐다"면서 "전방의 특수전 병력이 얼룩무늬 군복을 입고 기습 침투에 대비하는 훈련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북한군은 7개 경보병(특수전병력) 사단을 창설해 최전방으로 배치한 뒤 전투서열 제1번으로 높인 것으로 군은 파악하고 있다. 1개 경보병사단 병력은 7천여명 가량이어서 정예화된 5만여명의 특수전 병력이 최전방에 배치된 것이다.

이 소식통은 "우리 군이 디지털 무늬 군복을 조기에 일선부대에 지급하려는 것도 북한군의 이런 특이동향과 무관치 않다"고 설명했다.



군은 디지털 무늬 군복을 특수전사령부에는 이미 보급을 완료했으며, 내년 후반기부터 전방부대에 보급을 시작할 계획이나 이를 앞당기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고 매체는 전했다.

한편 대북 인터넷 라디오 `자유북한방송`은 북한에서는 얼룩무늬 군복이 훈련하는 군인들과 건설하는 군인들이 입는 작업복과 같은 것이라며 북한군에서 경무관(헌병)으로 복무하다 탈북한 A씨의 말을 인용해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북한에서 얼룩무늬 군복을 위장복 또는 개구리복이라고 하며, 이 군복을 작업복으로 착용하며 군부 내에서 밖으로 나올 때에는 북한군 일반 군인 복장을 해야 한다"고 전했다.

또 "북한 인민무력부 후방총국에서 얼룩무늬 군복을 지원해주지만 이 군복을 착용하고 외부로 돌아다닐 수 있는 군인은 건설총국 군인들뿐이며, 그 외의 군인들이 착용했을 때에는 단속의 대상이 되어 `앞으로 입지 않겠다`는 조서를 쓰는 등 많은 불편함을 겪는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