덩치 키운 네이버·카카오, 세계 무대서 겨룬다
by이대호 기자
2022.02.13 17:22:12
연매출 6조원대 나란히 진입
웹툰·웹소설, 일본 이어 북미서도 경쟁
블록체인 대체불가토큰(NFT) 시장 개척
‘제페토 메타버스 vs 돈버는 게임’ 승부처
오는 3월 새 대표 선임 ‘글로벌 시험대’
[이데일리 이대호 기자] 네이버(035420)와 카카오(035720)가 나란히 연 매출 6조원 고지에 올랐다. 작년 기준으로 각각 6조7728억원, 6조881억원이다. 전년 대비 28.5%, 47.6% 늘렸다.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덩치는 물론 성장세로도 국가대표 정보기술(IT) 기업 면모를 부각했다.
내실도 다졌다. ‘탈검색’을 앞세운 네이버는 작년 기준 검색플랫폼(3조2905억원)에 이어 커머스(1조4751억원)와 핀테크(9790억원), 콘텐츠(6929억원), 클라우드(3800억원) 등 신사업 분야에서 전체 매출의 약 52%를 차지하는 등 성과를 거뒀다. 폭발적 성장세를 보인 카카오는 광고 사업이 포함된 톡비즈(1조6439억원)의 경쟁력을 재차 입증하는 동시에 게임(9988억원), 미디어(3329억원)에서 각각 전년 대비 102%, 85% 성장해 네이버와 격차를 좁혔다.
두 회사의 시선은 세계 무대로 향했다. 무기는 웹툰·웹소설이다. 일본이 여전히 격전지다. 네이버는 라인(LINE)이, 카카오는 픽코마가 있다. 네이버는 라인을 통해 웹툰·웹소설뿐 아니라 마이스마트스토어 등 커머스까지 전방위 협력을 추진한다. 카카오는 일본 카카오픽코마의 현지 기업공개를 추진하고 1위 웹툰 플랫폼 지위를 공고히 할 계획이다.
북미 시장 쟁탈전도 예상된다. 네이버는 지난해 6월 세계 최대 웹소설 업체 왓패드를 인수하고 웹툰 스튜디오와의 통합으로 왓패드 웹툰 스튜디오를 설립했다. 카카오 역시 타파스와 래디시에 이어 우시아월드 등 북미 웹툰·웹소설 업체를 인수했다. 여민수 카카오 대표는 “올해 더 많은 언어권에서 오리지널 IP(지식재산) 파급효과를 선보이겠다”고 했다.
네이버는 웹툰 영상화로도 재미를 보고 있다. 넷플릭스에 올라간 웹툰 원작 드라마 ‘그 해 우리는’이 성과를 내는 중이다. 웹툰 원작의 ‘모럴센스’도 넷플릭스 방영 중이다. 한성숙 네이버 대표는 “다양한 신규 수익모델 도입을 기반으로 한 거래 규모의 성장과 광고, IP 사업을 포함한 글로벌 스토리텔링 플랫폼의 경제 규모를 확대하는 데 집중할 것”이라 말했다.
네이버와 카카오는 같은 듯 다른 콘텐츠 포트폴리오를 가졌다. 카카오게임즈가 자회사를 통해 직접 게임 사업을 벌이면서 지난해 콘텐츠 매출이 껑충 뛰어올랐다. 덩치를 불린 멜론 플랫폼까지 더한 콘텐츠 연 매출로는 카카오가 네이버를 2조 원 이상 앞지른다.
올해 두 회사의 승부처도 조금씩 다르다. 네이버가 제페토 메타버스를 앞세운 글로벌 사업에 힘을 준다면, 카카오는 당장 블록체인 기반 돈버는(P2E)게임이 핵심 전략이다. 단일 콘텐츠로 최대 매출원인 ‘오딘’의 P2E가 승부처다. 네이버 제페토를 이을 카카오 메타버스도 중심 전략 중 하나지만, 구체적인 전략이 나오지는 않았다.
네이버는 카카오와 달리 최근 컨퍼런스콜에서 블록체인과 대체불가토큰(NFT)에 대한 언급이 없었다. 본사보다는 암호화폐와 NFT 거래소(1분기 예정)까지 갖춘 일본 관계사 라인과 협력이 중심이다. 얼마전 라인 블록체인 기술로 제페토 NFT를 만들어 크립토게임즈 플랫폼에 판매한 바 있다. 카카오는 웹툰 나혼자만레벨업 NFT를 매진시켰다. 두 회사 모두 ‘IP 가상자산화’ 시장 개척에 나선다.두 회사를 향한 시선은 차기 대표 내정자에도 쏠려 있다. 네이버는 최수연 글로벌사업지원부 책임 리더가, 카카오는 남궁훈 카카오게임즈 전 대표가 최고경영자에 오른다. 모두 오는 3월 주주총회를 거쳐 대표가 될 예정이다.
81년생인 최수연 대표는 파격 인사의 주인공이다. 기존 틀에 얽매이지 않는 경영쇄신의 역할을 맡겼다. 글로벌 사업 확장에 대한 의지도 엿보인다. 최 대표 내정자와 일했던 한 인사는 “한 마디로 출중했다”며 “단순 복사를 맡겨도 효율적인 일 처리를 고민하는 사람”이라고 평했다.
카카오는 새 사령탑으로 한게임 창업 멤버로 시작해 CJ인터넷, 위메이드, 엔진, 카카오게임즈 등 최고경영자로 잔뼈가 굵은 남궁 전 대표를 택했다. 남궁 대표 특유의 추진력으로 변화를 기대하는 시선이 있다. 남궁 대표는 “카카오 주가가 15만 원이 될 때까지 최저임금만 받겠다”고 배수진을 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