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하지나 기자
2023.04.16 19:00:00
■갈길 먼 재활용 산업 (上)폐플라스틱
EU 등 주요국 플라스틱 재생원료 사용 의무화
韓 올해부터 3% 의무화..2030년 30%까지 확대
기업 재생원료 비중 높이라지만..대부분 소각
수거·선별업체 인프라 확충..단일소재 규격화 필요
글로벌 탄소중립 기조 강화로 탄소배출 저감을 위한 환경규제가 확대되고 있다. 이에 기업들은 제품의 생산-유통-폐기 과정에서 배출되는 탄소를 낮추기 위해 폐기물을 재활용하려는 고도화된 기술 개발 및 시설 구축 등에 나서고 있다. 탄소배출 없는 자원 선순환 생태계를 조성하겠다는 것이 목표다. 본지는 글로벌 환경 규제가 본격화된 (上)폐플라스틱, (下)폐배터리에 대한 국내 재활용 산업 현황과 시급한 규제 개선 과제 등에 대해 짚어봤다. [편집자주]
[이데일리 하지나 기자] “플라스틱을 재활용하려면 질 좋은 폐플라스틱을 확보하는 것이 관건인데 국내에서는 소재 수급 자체가 쉽지 않습니다.” (폐플라스틱 재활용 업체 관계자)
16일 환경부 및 업계에 따르면 2021년 우리나라 플라스틱 재활용률(전체 폐기물에서 재활용되는 폐기물의 비율)은 약 73%지만 열적 재활용을 제외하면 실질적인 재활용률은 27% 수준(충남대 연구팀 물질흐름분석 수행 결과)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업계와 전문가들은 현재 페트(PET) 재생원료 사용 비중이 1%도 채 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정부가 추진하는 재생원료 의무화 규제가 실효성을 거둘수 있을지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실질적인 플라스틱 재활용률을 높여야 재생원료를 더 많이 확보할 수 있어서다.
앞서 우리 정부는 올해부터 페트 연 1만톤(t) 이상 생산 업체에 재생원료 3% 이상 사용 의무 부과를 시작으로, 2030년에는 30%까지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이는 글로벌 탄소중립 기조와 맞물린 정책으로 EU 역시 페트 재생원료 비중을 2030년까지 30% 이상 의무화하도록 규정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