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품' 안긴 '이건희 얼굴' 본다…컬렉션 '정수' 135점

by오현주 기자
2021.07.20 09:52:26

국립중앙박물관·국립현대미술관 특별전
'이건희컬렉션' 서울 첫 대규모전 21일부터
박물관 2만 1600여점 중 77점 선별 전시
미술관 1488점 중 34명 작가 58점 엄선해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 펼친 ‘위대한 문화유산을 함께 누리다: 고 이건희 회장 기증 명품전’ 전경. 박물관이 기증받은 ‘이건희컬렉션’ 2만 1693점 중 77점(국보·보물 28건 포함)을 엄선했다. 왼쪽에 보이는 작품은 단원 김홍도가 말년에 그린 ‘추성부도’(보물 제1393호)다(사진=이데일리 방인권 기자).


[이데일리 오현주 문화전문기자] 드디어 퍼즐이 맞춰진다. ‘이건희컬렉션’의 얼굴을 드러내는 전시가 양대 국립기관인 국립중앙박물관과 국립현대미술관에서 21일 동시에 개막한다. 양구·대구 등 전국 지방 미술관으로 흩어진 소장품이 일부 공개된 적은 있지만 ‘이건희컬렉션’ 중 대표작을 뽑아놓은 대규모 전시는 처음이다. 문화재와 고미술품에서 고른 77점이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 한국근현대미술에서 고른 58점이 국립현대미술관에 걸리고 세워진다. “국민 품으로” 보내겠다던 이건희(1941∼2020) 회장의 유지가 비로소 실감나는 현실로 다가왔다.

국립중앙박물관이 내건 전시명은 ‘위대한 문화유산을 함께 누리다: 고 이건희 회장 기증 명품전’이다. 기증받은 2만 1693점 중 시대를 대표하는 문화재 77점(45건)을 엄선해, 상설전시실 2층 서화실에 펼쳐놓는다. 그중 국보가 12건, 보물이 16건이다.

박물관 관계자는 “시기와 분야를 아우르는 ‘이건희컬렉션’의 성격과 참모습을 한자리에서 소개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고 밝혔다. 충남 예산에서 출토했다고 전하는 선사시대 유물인 국보 ‘청동방울 일괄’부터 조선 후기에 제작한 도자기와 책장, 민화까지 다양하다. 그럼에도 단연 눈에 띄는 건 말이 필요없는 ‘명품’이다.

겸재 정선(1676∼1759)의 최고 걸작으로 꼽히는 ‘인왕제색도’(국보 제216호), 삼국시대 금동불의 섬세함 보여주는 ‘일광삼존상’(국보 제134호), 글씨와 그림이 빼어난 고려 사경 ‘대방광불화엄경 보현행원품’(국보 제235호), 현존하는 유일의 ‘천수관음보살도’(보물 제2015호), 단원 김홍도(1757~1806?)가 말년에 그린 ‘추성부도’(보물 제1393호) 등이 한꺼번에 나선다. 모두 기증 당시 화제가 됐던 걸작들이다.

겸재 정선 ‘인왕제색도’(1751·국보 제216호), 종이에 먹, 79.2×138.0㎝(사진=국립중앙박물관)




이외에도 강세황이 그린 ‘계산허정도’ ‘계산기려도’, 삼국시대 금동불인 국보 ‘금동보살삼존입상’과 한글 창제의 결실을 엿볼 수 있는 조선 초기 서적인 ‘석보상절 권11’ ‘월인석보 권11·12’ ‘월인석보 권17·18’도 전시대에 오른다. 삼국시대 토기와 고려시대 금속공예품,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초기의 사경(손으로 베낀 경전), 고려청자와 조선백자 등은 되레 덤이다.

국립현대미술관이 내세운 전시명은 ‘이건희컬렉션 특별전: 한국미술명작’이다. 역시 기증받은 1488점 중 한국 근현대미술의 회화걸작 58점을 골랐다. 이 회장 유족이 국립현대미술관에 기증한 작품은 한국 근현대미술작가 238명의 작품 1369점, 외국 근대작가 8명의 작품 119점. 그중 작가 34명의 58점이니 ‘정수 중의 정수’라 할 만하다. 서울관 제1전시실에서 관람객을 맞는다.

김환기 ‘여인들과 항아리’(1950년대), 캔버스에 유채, 281.5×567㎝(사진=국립현대미술관).


기증 당시 화제가 된 이름들이 줄줄이다. 김환기, 박수근, 이중섭, 이응노, 유영국, 권진규, 천경자 등 20세기 초중반을 이끌고 달군 작가들이 192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제작한 대표작들이 나선다. 김환기(1913∼1974)의 가장 큰 유화작품으로 꼽히는 가로 567㎝의 ‘여인들과 항아리’(1950s)과 국립현대미술관에 들어간 전면점화 1호가 된 ‘울림 19-II-73307’(1973)을 앞세워 장욱진(1918∼1990)의 나룻배(1951)와 ‘소녀’(1939), 이중섭(1916∼1956)의 ‘황소’(1950s)와 흰소(1950s), 박수근(1914∼1965)의 ‘절구질하는 여인’(1954), ‘유동’(1954) 등이 총출동한다.

이밖에도 백남순의 ‘낙원’, 이상범의 ‘무릉도원’, 김종태의 ‘사내아이’, 이성자의 ‘천 년의 고가’, 김흥수의 ‘한국의 여인들’ 등을 두루 만날 수 있다.

기증자의 뜻을 살려 전시는 모두 무료로 진행한다. 국립중앙박물관에선 9월 26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에선 내년 3월 31일까지다. 다만 19일 사전 예약 개시와 동시에 이달치 티켓이 전부 마감돼 국민적 뜨거운 관심을 방증했다.